소개글
"교대 근무 간호사 주제로 논문 선정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수면장애의 정의와 증가
1.2. 수면장애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2. 수면장애의 유형과 특성
2.1. 불면증
2.2. 수면무호흡증
2.3. 기타 수면장애
3. 수면장애와 관련된 주요 이슈
3.1. 코로나19로 인한 불면증
3.2. 수면무호흡증과 다양한 질병과의 관련성
3.3. 수면장애와 탈모
3.4. 수면장애와 분노
3.5. 병원 간호사의 불면증
4. 낙상 예방
4.1. 낙상의 정의와 발생률
4.2. 낙상으로 인한 문제점
4.3.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의 낙상 관리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수면장애의 정의와 증가
최근 들어 제대로 된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수면장애 환자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9년 수면장애로 병원을 찾은 환자의 수는 63만 7000명으로, 2016년 49만 4000명 대비 28.7%나 증가하였다. 수면장애는 건강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거나, 수면을 충분하게 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낮 동안에 각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 또는 수면 리듬이 흐트러져 있어서 잠을 자거나 깨어 있을 때 어려움을 겪게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1.2. 수면장애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수면장애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다양하고 심각하다. 수면장애는 당뇨병, 고혈압, 뇌종양, 호흡기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
우선 수면무호흡증의 경우, 잠을 자다가 갑자기 숨을 멈추는 현상으로 수면의 질을 떨어뜨려 심·뇌혈관 질환, 대사성 질환의 위험을 높이며 사망률까지 올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면은 다양한 인체 기능을 재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경우 이러한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각종 질병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대표적으로 수면무호흡증 환자는 당뇨병과 고혈압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 중 체내 산소 농도가 낮아지면서 뇌를 자극하게 되어 뇌종양 발생률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면무호흡증은 폐암을 포함한 임파선암 발생 위험도 높이며, 대동맥 석회화 위험도 높인다고 한다.
나아가 수면장애는 분노와 공격적인 행동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수면과 수면 이상이 분노 관련 증상, 특히 분노 정서와 분노 행동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동기의 수면무호흡증은 공격 행동 증가에 상당한 영향을 주며, 성인에서도 다양한 수면 이상이 분노, 분노 정서와 관련성이 높았다. 이는 충분하고 적절한 수면이 분노의 예방과 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수면장애가 건강에 미치는 이러한 심각한 영향은 사회적으로도 큰 문제를 야기한다. 수면장애 환자의 경우 신체적 손상과 함께 자신감과 독립성 저하, 삶의 질 저하 등의 문제를 겪게 된다. 또한 수면장애로 인한 의료비용 증가와 소송 발생 등 사회경제적 부담도 가중된다. 따라서 수면장애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와 예방이 필요하다.
2. 수면장애의 유형과 특성
2.1. 불면증
불면증은 잠들기 어렵거나, 자주 깨어나거나, 새벽에 일찍 잠에서 깨어나는 등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최근 들어 제대로 된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수면장애 환자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9년 수면장애로 병원을 찾은 환자 수가 63만 7천 명으로 2016년 대비 28.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면증은 수면장애의 한 유형으로, 중요한 특징은 잠들기 어렵거나, 자주 깨어나는 등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이로 인해 낮 동안에 과도한 졸음을 호소하거나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불면증에는 초기 불면증, 유지 불면증, 조기 각성 불면증 등이 있으며, 이러한 증상들이 3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만성 불면증으로 진단된다.
불면증은 단순히 수면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건강상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생활 패턴 변화로 인해 불면증을 겪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집과 직장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직장 스트레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코로나19에 대한 불안감과 무력감 등이 수면 부족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불면증은 당뇨병, 고혈압, 뇌종양, 호흡기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 불면증 환자의 경우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서 혈당 조절에 문제가 생기고, 수면 중 반복적인 호흡 장애로 인한 저산소증이 고혈압 등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불면증은 원형탈모증의 독립적인 위험 요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수면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원형탈모증 발병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참고 자료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91
김준수, “달리진 생활패턴에 잠 못 드는 직장인들... 불면증 대처법은?”, 「메디컬투데이」, 2021.05.24.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421048
홍세희, “잠 못 드는 밤... 수면제 먹어도 될까”, 「뉴시스」, 2020.01.26.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126_0001317763&cID=13101&pID=13100
이지현, “성인 15%가 앓는 ‘수면무호흡증’...뇌종양·임파선암 위험 높인다” 「한국경제」, 2021.03.06.
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21030575341
장재형, “불면증 등 수면장애, 원형탈모증 유발 위험성 높아”, 「조세일보」, 2021.04.23.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21/04/20210423422206.html
신승화·김수현, 「병원 간호사의 연속 야간 교대근무와 근무시간이 불면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020, P133·134·137·138
서유민·김석주, 「수면과 분노」, 『수면정신생리』, 대한수면의학회, 2019, P72
정한나.(2017).낙상예방교육이 정형외과 입원환자의 낙상관련지식, 낙상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
손재이, 박병규, 이찬희, 안금희, 김정남, 박민현, 최은영, 부은희, 강민진, 홍정화.(2019).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이용환자의 낙상발생률과 낙상의 특성.보건행정학회지,29(2),172-183.
심송미, 김은하.(2019).간호·간병 통합병동에 입원한 노인환자의 낙상예방교육 효과.한국보건간호학회지,33(2),200-213.
조은경, 성미현, 이윤신, 석소현.(2019).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를 위한 낙상예방교육프로그램 효과.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19(11),19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