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플루엔자A 통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문헌고찰
1.2.1. 정의
1.2.2. 원인 및 관련요인
1.2.3. 병태생리
1.2.4. 증상 및 징후
1.2.5. 진단검사
1.2.6. 치료 및 간호
2. 본론
2.1. 간호 정보
2.1.1. 일반정보
2.1.2. 건강과 관련된 정보
2.2. 아동의 사정자료
2.2.1. 투약
2.2.2. 진단검사 및 특수검사
2.3. 아동 간호계획서(간호과정)
2.3.1. 간호진단 우선순위
2.3.2. 간호과정
3. 결론
3.1. 퇴원교육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코로나19 유행 이전 수준으로 봄철 호흡기감염병 환자 증가세에 따라 영유아, 소아청소년 및 어르신 대상 호흡기감염병 예방 및 개인위생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유행 이전 수준으로 호흡기감염증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봄철 호흡기감염증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23. 4.21.). 인플루엔자는 매년 11~4월에 유행하는 감염병으로, 예방을 중요시하는 질병이다. 의료인 종사자, 면역력이 약한 소아, 임산부, 노인을 대상자 등으로 예방접종을 중요시하는 질병이니 만큼 감염률이 높다. 특히 인플루엔자에 감염되기 쉬운 대상자는 면역력이 약하며, 단체생활을 하는 영유아인데, 질병관리청 조사에 따르면, '동기간 내 바이러스성 급성호흡기감염증 입원환자는 2,201명으로, 2023년 2월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리노바이러스(701명),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567명),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470명) 순으로 많이 발생하고 있다.' 라고 말하고 있다. 이처럼 바이러스성 급성호흡기감염증 입원 환자의 수를 유의미하게 차지하고 있고, 영유아 감염률이 높은 인플루엔자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1.2.1. 정의
인플루엔자(Influenza)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감염 질환이다. 인플루엔자는 매년 겨울철에 유행하여 건강인에서 업무상의 차질을 일으키고 노인, 만성질환자, 영유아, 임신부 등 고위험군에서 이환률 및 사망률의 증가를 초래해 막대한 사회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주요 표면 단백질인 적혈구응집소(hemagglutinin, HA)와 뉴라민분해효소(neuraminidase, NA) 유전자의 변화에 따라 항원 대변이(antigenic shift)와 항원 소변이(antigenic drift)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계절 인플루엔자와 함께 때로는 전 세계적인 대유행을 일으킬 수 있다.
1.2.2. 원인 및 관련요인
독감 바이러스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원인 병원체이다. 독감 바이러스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B, C형 세 가지가 존재하지만 사람에게 병을 일으키는 것은 A형과 B형이다. A형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H항원과 N항원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존재한다. 보통 사람에게 병을 일으키는 항원의 종류는 H1, H2, H3와 N1, N2이다.
조류에서 나타나는 H항원과 N항원은 보통 사람에게는 병을 일으키지 않지만, 바이러스 내에서 유전자 돌연변이가 일어나거나 사람에게 병을 일으키는 종류의 항원과 유전자를 교환하면 사람에게도 쉽게 병을 일으키는 형태로 변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나타나면 전 세계를 휩쓸 수 있는 대유행을 일으킬 수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감염된 환자의 호흡기로부터 기침, 재채기 등에 의해 외부로 방출된 바이러스 입자가 분무 또는 도말 형태로 감수성이 있는 다른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다. 호흡기 분비물 외에도, 설사와 같은 다른 체액에 의한 전파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1.2.3. 병태생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은 주로 겨울철에 일어나며, 미세입자의 에어로솔의 접촉 또는 흡입으로 전파된다. 감염된 환아에게 증상이 나타나기까지는 최소 1~2일, 최대 2주까지 잠복해 있을 수 있다. 아동의 연간 평균 감염률은 20~50%에 달하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일차적으로 상기도 상피를 자극하지만, 신체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만성 심장, 폐 질환, 당뇨, 만성신부전, 면역결핍의 아동은 면역력이 낮아 인플루엔자 감염에 더 취약하다. 합병증으로는 중이염, 라이 증후군(급성 뇌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잠재적인 합병증이 있어 장기간의 열 또는 회복기 동안 재발하여 열이 있을 시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예방을 위해 매년 새로운 인플루엔자 백신을 맞아야 한다.
1.2.4. 증상 및 징후
인플루엔자의 대표적인 증상 및 징후는 발열, 기침, 가래 및 콧물, 호흡 곤란, 구토, 인두통, 빈호흡, 복통, 흉부 함몰 등의 순서로 나타난다. 이 중에서도 특히 호흡 곤란, 저산소혈증, 빈호흡의 빈도가 높아 중증 하기도 감염의 지표가 될 수 있다. 천명음, 수포음 등 폐렴의 하기도 증상도 관찰된다.
혈액 검사상 백혈구 수, 중성구 비율, CRP가 높았으며, 림프구 비율은 낮았는데, 이는 신종 인플루엔자에서 중증 하기도 감염의 지표...
참고 자료
김우주, “대유행 신종인플루엔자 A (H1N1)의 역학, 임상 소견 및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제 77권 제 2호, 2009, 157~164
양송이 외 8명, “2009-2011년 신종 인플루엔자 A (H1N1)와 계절 인플루엔자 감염으로 입원한 소아 환자들의 임상 양상과 경과 비교”, 가천대학교 길병원 소아청소년과, 2012년, 293~299p
위성헌 외 1명, “신종 인플루엔자 A (H1N1)의 진단과 치료”, 가정의학회지, Vol. 30, No. 11 Nov 2009, 843~847p
손유락 외 2명, “소아에서 2009 신종 인플루엔자 A (H1N1) 바이러스 감염의 임상적 특징”, 대구파티마병원 소아청소년과, 2011, 175~180p
김옥선, “일 지역 보건계열 대학생의 신종인플루엔자 A (H1N1) 예방접종 실태 및 영향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41권 제3호, 2011년 6월, 403~404p
송연신 외(2021), 기본간호학1&2, 수문사.
임경춘 외(2021), 건강사정, 학지사메디컬
이은희 외(2020),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김영혜 외(2018). 아동간호학 총론. 서울 : 현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인플루엔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20026&cid=51004&categoryId=51004
인플루엔자 [influenz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인플루엔자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김금자 외(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 현문사
조결자 외(2000). 아동간호진단. 서울 : 현문사
최영배 외(2008). 2005년과 2006년 경주 지역에서 유행한 인플루엔자의 임상적 고찰 및 인플루엔자 신속 항원 검사법의 유용성. 동국의학. 제15권 제1호. Vol.15
전선영 외(2011). 신종인플루엔자 A(H1N1)환자에서 인플루엔자 신속항원 검사의 유용성. 동아대학교 대학원
김희순 외 9명, 아동청소년간호학Ⅱ, 수문사
박은영 외 5명,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성미혜 외(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최재원, 조현준, 김황민, 한석. (2014). 계절 인플루엔자: 단일기관 연구.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21(1), 1-8.
질병관리청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act=view&list_no=722348 (2023.04.25)
김소희, 황윤기, 김묘정. (2019). 인플루엔자 A·B 바이러스항원검사[현장검사] 급여 적정성 분석 연구. https://repository.hira.or.kr/handle/2019.oak/1660 (2023.04.25)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441 (2023.04.25.)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2023.04.29)
국민건강영양조사 – https://knhanes.kdca.go.kr/knhanes/sub08/sub08_04.do (2023.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