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심부전 사례 간호진단
1.1. 간호 사정
대상자 김OO는 77세 여성으로 입원 경로는 호흡곤란으로 인한 응급실 내원 후 EICU에 입원한 심부전 환자이다. 대상자는 평소 허리디스크로 인해 거의 움직이지 못하고 눕거나 기어서 움직였던 환자로, 최근 1주일 전부터 숨쉬기 힘들고 부종이 있어 내원하게 되었다.
대상자의 과거력으로는 고혈압, 당뇨, 만성신장질환, 허리디스크가 있었으며, 심장질환의 병력은 없었다. 내원 전 1개월 전부터 가슴이 두근거리고 답답한 증상이 있었지만 병원에 가지 않고 지냈다고 한다.
활동과 휴식 양상을 보면, 일상생활 수행능력(ADL)이 모두 할 수 없는 상태였고, 거동에도 어려움을 보였다. 호흡양상은 정상 호흡음이었으나 쌕쌕거림이 들렸고, 객담량이 많으며 노란색과 혈액이 섞여 나왔다. 입원 당시 인공호흡기를 사용 중이었다.
영양 및 배설 양상을 살펴보면, 입원 전 식사량이 매우 적었고 주로 죽이나 물에 밥을 말아 먹었다고 한다. 입원 후 경관영양 중이며, 배뇨는 기저귀와 소변줄을 사용하고 있다. 배변은 1일 2회 정도 되며 양상은 설사 상태였다.
피부통합성은 전반적으로 정상이었으나 부종이 있었고, 탈력감과 무기력함을 호소하였다. 또한 CRAB(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감염이 확인되었다.
전반적인 대상자의 상태를 종합해볼 때, 77세 여성으로 허리디스크와 만성질환을 가진 고령의 심부전 환자로, 객담 증가와 호흡곤란, 부종 등의 심부전 증상이 있었다. 또한 저영양 상태와 감염 등의 복합적인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상자의 주요 간호문제는 심박출량 감소에 따른 조직관류 장애, 영양 및 배설 문제, 감염관리, 불안 및 지식부족 등으로 볼 수 있다.
1.2. 문헌고찰
심부전은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저하되어 신체의 대사 요구에 따른 충분한 혈액량을 박출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심장은 강한 근육으로 된 펌프로서 혈액을 전신에 순환시켜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고 몸에서 생긴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거두어들이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기이다"". 사람의 심장은 전신 순환을 담당하는 좌측 심장과 폐순환을 담당하는 우측 심장으로 구분되며, 각각은 혈액을 받아들이는 심방과 혈액을 내보내는 심실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심장의 기능이 신체가 요구하는 심박출량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를 심부전이라 한다""."
심부전의 주요 원인은 심장 혈관(관상동맥) 질환(예, 심근경색 등)이 2/3 정도로 가장 흔한 원인이며, 그 외에 심장 근육(심근) 질환, 고혈압, 판막 질환 등이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장기간의 빠른 맥박(빈맥), 지속적인 과도한 음주, 극심한 스트레스 등도 원인을 제거하면 좋아지는 가역적인 심부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심부전의 병태생리는 전부하와 후부하의 증가, 심박동수 변화 등으로 인한 심근섬유길이 변화와 심근 수축력 부담 등으로 인해 심근 수축력이 감소하면서 저산소증이 발생하는 것이다"". 전부하 증가는 심실혈액량 증가로 인한 심실압력과 심근섬유길이 증가로 나타나며, 후부하 증가는 말초저항이 높아지거나 고혈압 상태에서 혈액을 밀어내기 위해 더 큰 힘이 필요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대한 보상기전으로 교감신경계가 자극되어 심박동수 증가, 정맥귀환 증가, 혈관수축 등이 나타나지만 장기적으로는 심근 수축력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체계가 활성화되어 나트륨과 수분 정체를 유발하고, 심실 비대와 확장이 나타나는 등 다양한 보상기전이 작용한다""."
심부전의 주된 증상은 호흡곤란, 피로감, 운동 능력 저하, 부종 등이며, 좌심부전과 우심부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좌심부전은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조직관류 감소와 폐울혈이 특징이며, 우심부전은 우심실 기능 저하로 인한 정맥울혈과 부종이 특징이다""."
심부전의 진단을 위해서는 혈액검사, 심전도, 흉부 X선 검사, 심장 초음파, 핵의학적 검사, MRI 등 다양한 검사가 이용된다"". 특히 심장 초음파는 심부전 진단의 핵심적인 검사방법이며, 심장의 구조적 이상 및 기능을 평가하고 경과를 파악할 수 있다""."
심부전의 치료는 주로 약물치료가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