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명기 16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문 비평
2.1. 본문 사역
2.2. 본문 비평과 번역본 비교
2.3. 초막절의 위치와 구조
3. 양식 비평
3.1. 장르
3.2. 삶의 자리
3.3. 의도
4. 전승 비평
4.1. 절기
4.2. 대상
4.3. 절기의 장소
5. 수사 비평
6. 정경 비평
6.1. 구약성서의 문맥에서 본 초막절
6.2. 신약성서의 문맥에서 본 초막절
7. 결론
7.1. 종합적 비평
7.2. 메시지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절기는 과연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본 서론은 시작된다. 성경에 기록된 이스라엘의 절기는 오늘날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쉽게 와 닿지 않는다. 이는 수천 년이 넘는 시공간적 상이성 때문일 것이다. 이런 이유들로 절기를 소홀히 지나치기에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기독교의 뿌리가 되는 이스라엘 유대교는 절기축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유대교 절기를 소홀히 지나치는 것이 아니라 자세히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본서는 신명기 16:13-17을 본문으로 설정하고, 초막절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초막절은 수장절이라고도 불리며(출23:16), 이스라엘의 3대 절기중 하나이다. 이스라엘 절기들 가운데 특별히 초막절은 이스라엘 민족의 신앙에 있어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 절기는 이스라엘인들에게 있어 가장 대중적인 절기로 본래 타작마당과 포도주 틀의 소출, 곧 과일과 올리브 열매 및 포도 등을 저장하는 것을 기념하는(신16:13, 레23:39) 가나안 농경 축제와 관련을 가지고 있었으며, 춤과 연회를 핵심 내용으로 하는 무도회(삿21:9)에 그 기원을 두고 있었다.
바벨론 포로기에 최종적으로 편집된 신명기는 이스라엘이 이미 가지고 있던 율법과 그들의 역사를 상황에 맞게 새롭게 해석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본서는 신명기 16:13-17의 초막절이 가지고 있는 신학적 의미와 의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문비평과 양식비평, 전승비평, 수사비평 그리고 정경비평의 방법을 통해 다양한 각도로 본문을 해석하고 최종적으로 본문이 주는 의미를 찾아보려한다. 우리가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주제는 초막절 속에 나타나는 구속사적인 관점이다. 죄를 범한 이스라엘을 포기하지 않으시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본문을 통해 살펴보고 오늘날 우리에게도 동일하게 역사하시는 하나님을 다시 한 번 되새길 수 있는 메시지를 도출하고자 한다.
2. 본문 비평
2.1. 본문 사역
본문 사역(MT, LXX 재구성)은 다음과 같다"
13 너희는 타작마당과 포도주 틀에서 소출을 거두어들일 때에¹, 칠 일 동안 초막절을 스스로² 지켜야 한다. 14 너희는 이 축제에서, 너희와 너희의 아들과 그리고 너희의 딸과 너희의 남종¹과 너희의 여종과, 너희의 성문 안에 있는 레위인과 나그네와 고아와 과부와 함께 즐거워해야 한다. 15 너희는 칠 일 동안, 주 너의 하나님이 택하신 그 곳에서. 주 너희의 하나님께, 축제를 올려야 한다. 너희는 너희의 모든 소출과 너희의 두 손으로 행한 모든 일에 주 너희의 하나님이 만일 복을 주시면¹?¹, 너는 온전한¹?² 기쁨을 누려야 한다.¹?¹ 16 너희의 모든 남자는 일 년에 세 번, 무교절과 칠칠절과 초막절에. 주님이 택하신 그 곳에서 주 너희의 하나님 앞에 나타나야 한다. 그러나 그는 빈손으로 주 너의 하나님 앞에 나타나서는 안 된다. 17 각 사람은 너희의 주 너의 하나님이 너희에게 주신 복에 따라 자기 손으로 예물을 드려야 한다¹.
2.2. 본문 비평과 번역본 비교
13¹번 절의 전치사 "에"( )의 번역에 있어 차이가 있다. 개역개정판과 KJV 등은 "-후에"라고 번역하고 있는 반면, 표준새번역과 공동번역 등은 "-할 때"라고 번역한다. 여기서 전치사 "에"는 상황절에서 주어의 행위가 행해지는 "동시적인 때"를 표현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13²번 절에서 LXX에는 "스스로"(σεαυτ?)라는 단어가 삽입되어 있지만, MT 본문에는 없다. 따라서 MT 본문이 더 고대 사본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14¹번 절에서 LXX에서는 "너의 남종"에 대한 접속사가 생략되어 있다.
15¹?¹번 절에서 공동번역본은 "복을 내려 주시는데 어찌하여 즐기지 않겠느냐"로 번역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번역은 MT 본문과 상당한 거리가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15¹?²번 절에서 MT 본문에는 "온전히"라는 단어가 있지만, LXX에는 없다.
17¹번 절에서 번역본들의 차이가 나타난다. 개역개정판은 "그 힘대로 드릴지니라."로, 공동번역은 "예물을 들고 와야 한다."로, 그리고 표준새번역은 "그 힘대로 예물을 가지고 나아가야 한다."로 번역했다.
종합해 보면, 본문 비평 과정에서 나타난 MT 본문과 LXX 사본의 차이는 구체적인 번역 차이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원문에 대한 신중한 검토와 분석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2.3. 초막절의 위치와 구조
신명기를 전체 구조로 살펴보면 모세의 세 편의 설교로 구성되어 있다. 서두(1:1-5), 첫 번째 설교(1:6-4:43), 두 번째 설교(5:1-28:69), 세 번째 설교(29:1-30:20), 맺음말은 모세의 마지막 날들(31:1-34:12)로 나눌 수 있다. 본문은 모세의 두 번째 설교이면서 신명기 법전이라고 할 수 있는(12-26장)안에 들어 있는 축제의 절기(16:1-17) 안에 있는 16:13-17절은 초막절에 관한 것이다. 즉, 신명기 16장 13-17절은 신명기의 두 번째 설교에 해당하며, 신명기 법전 중 절기에 관한 부분에 포함되어 있는 초막절에 대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3. 양식 비평
3.1. 장르
신명기는 시내산에서 하나님과 이스라엘 사이에 맺은 역사적 계약(율법)의 의미를 상술하고 있다. 신명기가 보여주는 연설은 주로 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신명기12-16장은 '신명기법전'으로 출애굽기의 계약법전(20:22-23:33)보다는 더욱 상세하고 종교적이고 정치적이며 사회적인 차원의 여러 율법 규정들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이 단락은 신명기 법전 가운데에서도 야훼와 관련되어 있...
참고 자료
전 집
J. P. Lange 『출애굽기』, 랑게주석 (서울:백합출판사 1979) 312-313
Levine, Baruch A. 『레위기』 (필라델피아:유태인 출판 협회 1989) 163
R. L. Harris 외, 『TWOT vol. 2』(Chicago, 1980)
Sarna, Nahum M. 『출애굽기』 (필라델피아:유태인 출판 협회 1991) 146
강성열 외, 『신명기 원문번역·역사비평주석』(서울: 감신대 출판부, 2004)
김영진 『레위기』, 그랜드종합주석 제자원 (성서교재간행사 1991) 794
단행본
Duane L. Christensen,『신명기(상)』, 정일오 옮김 (서울: 솔로몬, 2003)
Jacob Milgrom 『레위기 23-27』 (뉴욕: 더블데이 2001) 2036-2037
Norman Solomon 『유대교: 아주 짧은 소개』 (뉴욕: 옥스퍼드대학 출판사 1996) 55
Schmidt, Werner H, 『역사로 본 구약신앙』, 강성열 옮김 (서울: 나눔사, 1989)
William A. VanGemeren 『구약신학과 해석에 대한 새로운 국제 사전』 (미시간: 존더반출판사 1996) 20-21
목회와 신학편집부, 『신명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서울:두란노아카데미, 2008)
왕대일, 『다시 듣는 토라』(서울:한국성서학연구소, 1998)
왕대일, “전경과 토라: 오경에 대한 정경비평적 고찰”
논 문
W. R. Scott “고대 이스라엘의 가을축제 부스” (존 홉킨스대학 1993) 29-32
김경식, “초막절 설교 본문 양식비평과 신학" (석사학위 논문, 감기교신학대학원, 2005)
J. P. Lange 『출애굽기』, 랑게주석 (서울:백합출판사 1979) 312-313
Levine, Baruch A. 『레위기』 (필라델피아:유태인 출판 협회 1989) 163
R. L. Harris 외, 『TWOT vol. 2』(Chicago, 1980)
Sarna, Nahum M. 『출애굽기』 (필라델피아:유태인 출판 협회 1991) 146
강성열 외, 『신명기 원문번역·역사비평주석』(서울: 감신대 출판부, 2004)
김영진 『레위기』, 그랜드종합주석 제자원 (성서교재간행사 1991) 794
Duane L. Christensen,『신명기(상)』, 정일오 옮김 (서울: 솔로몬, 2003)
Jacob Milgrom 『레위기 23-27』 (뉴욕: 더블데이 2001) 2036-2037
Norman Solomon 『유대교: 아주 짧은 소개』 (뉴욕: 옥스퍼드대학 출판사 1996) 55
Schmidt, Werner H, 『역사로 본 구약신앙』, 강성열 옮김 (서울: 나눔사, 1989)
William A. VanGemeren 『구약신학과 해석에 대한 새로운 국제 사전』 (미시간: 존더반출판사 1996) 20-21
목회와 신학편집부, 『신명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서울:두란노아카데미, 2008)
왕대일, 『다시 듣는 토라』(서울:한국성서학연구소, 1998)
왕대일, “전경과 토라: 오경에 대한 정경비평적 고찰”
W. R. Scott “고대 이스라엘의 가을축제 부스” (존 홉킨스대학 1993) 29-32
김경식, “초막절 설교 본문 양식비평과 신학" (석사학위 논문, 감기교신학대학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