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문학의 이해 중간고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교육철학의 관점에서 본 인문주의, 인본주의, 진보주의
1.1. 인문주의
1.2. 인본주의
1.3. 진보주의
2. 행동주의
3. 한국어 고등교육 어휘 교수-학습안
3.1. 학습안 제목 및 목표 설정
3.2. 수업 구성과 과제 및 평가 방침
3.3. 강의 주차별 핵심 내용 소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교육철학의 관점에서 본 인문주의, 인본주의, 진보주의
1.1. 인문주의
인문주의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소크라테스, 플라톤에 의해 완성된 교육철학으로, 인간주의 또는 인도주의라고도 불리며 서구 철학의 근본적인 개념이다. 인문주의 교육은 인간의 지적 능력 개발을 중요시하면서 학습자가 이를 스스로 이해하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인문주의 교육의 목적은 지성을 갖추어 도덕적인 문화시민을 양성하는 것이며, 교양 교육을 강조하였다. 즉, 인문주의 교육에는 도덕성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인문주의 교육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지닌다. 첫째, 자유의 가치를 가리며 활용이 가능한 능력을 갖추도록 도와준다. 둘째, 성인들이 직접 참여한 사안과 그에 대해서 감정 사이에 차이 발생 시 그 차이에 대해서 적절하게 반응하도록 도와준다. 셋째, 인간이 경험하는 범위와 반응이 가능한 영역을 확장할 수 있게 해준다. 넷째, 시민의 자질을 향상시키고 여가의 선용과 인간 존엄성 지각 등에 기여할 수 있다.
인문주의에서의 교육은 인간이 지속적으로 성장을 하게 되고 자아의식을 개발할 수 있다는 믿음에 기반을 두고 있다. 즉, 인문주의 교육은 지성과 도덕성, 인간 존엄성의 함양을 통해 자유로운 시민을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인본주의
인본주의 교육철학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며, 행동주의와 정신분석학에 대하여 반발하기 위해서 생겨났다. 학습활동은 감성의 발견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학습자가 자신을 발견하게 되면서 수행하게 되는 학습을 최고의 학습으로 간주하였으며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흥미와 ...
참고 자료
림영철, 「평생교육개론」, 형설출판사, 2002.
박경실 외, 「평생교육론」, 학지사, 2010.
박의수 외, 「교육의 역사와 철학」, 동문사, 2020.
윤옥한, 「평생교육방법론」, 양서원, 2017.
차갑부, 「평생교육론」, 교육과학사, 2014.
한우섭, 「평생교육론」, 학지사, 2019.
허용,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한 개론」, 『박이정출판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