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복강내출혈 (Hemoperitoneum) 사례 연구
1.1. 일반 정보
이 환자는 74세 남성으로, 2018년 12월 4일 강릉아산병원에서 농기계 사고 후 post-CPR state로 입원하였다. 주요 진단명은 복강내출혈(Hemoperitoneum), 골반 골절, 경추 및 흉추 탈구, 두개골 골절, 외상성 경막하 출혈 등이다.
입원 당시 환자의 활력징후는 BP 100/75 mmHg, P 50회/분, R 20회/분, BT 34.0℃이었고, 응급실에서 PRBC 9단위와 FFP 4단위 수혈을 받았다. 이후 TICU에 입실하여 praperitaneal pelvic packing 수술을 받았고, 지속적인 수혈 및 약물 치료를 받았다.
환자는 12월 7일 오후 6시 30분에 사망하였는데, 마지막 12월 7일에는 혈압이 계속 불안정한 양상을 보이다가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1.2. 병력
현재 질병의 현병력(present illness)을 살펴보면, 12월 3일 PM2시 2인용 농기계를 운전하던 중 뒤에서 오던 차량과 충돌하는 과정에서 차가 옆으로 넘어가면서 차 밑에 깔렸다고 한다. 이로 인해 강릉아산병원으로 이송되었고, 그 후 심정지 상태로 CPR을 시행하였으며 iliac artery angioembolization 술기를 받았다. 이후 12월 4일 AM1시 30분경 구급차를 통해 본원 응급실로 전원 왔다"고 볼 수 있다"".
과거병력(past history)으로는 고혈압을 가지고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가족력(family history)에 대한 정보는 사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다"".
질병진행과정(Progress of Disease)을 살펴보면, 12월 3일 사고 후 강릉아산병원에서 심정지 상태로 CPR을 시행하고 angioembolization 술기를 받았다. 이후 12월 4일 AM1시 30분경 본원 응급실로 전원 왔으며, 응급실에서 수혈을 시행하고 TICU로 입원하여 praperitaneal pelvic packing 수술을 받았다. 이후 지속적인 경과 관찰과 처치를 받았으나 12월 7일 오후 6시 30분에 결국 사망하였다"".
1.3. 질병 기술
복강이란 위, 장, 간, 쓸개, 콩팥, 비장, 췌장 등의 장기가 들어있고 복막으로 막혀있는 공간을 말한다. 복강 속에 있는 장기들이나 혈관이 터져서 피가 복강 속에 고이는 것을 복강 내 출혈이라고 한다.
복강 내 출혈의 원인으로는 사고나 외상에 의한 내장파열, 동맥류의 파열, 또는 자궁외 임신파열, 난소출혈, 간암 등 악성종양의 파열, 소화관 천공 등을 들 수 있다.
복강 내 출혈의 증상으로는 출혈로 인한 복부통증, 창백, 체온하강, 얕은 호흡, 빈맥, 저혈압, 식은땀 등이 있다. 복강 내 출혈이 심해 배안에 피가 가득 고이면 혈액량 부족으로 쇼크가 오거나 사망할 수도 있다. 반면 비장 파열 등의 경우에는 수일에서 수주간 무증상일 수도 있다.
복강 내 출혈의 진단을 위해서는 진단적 복막세척, 혈액검사, 복부 CT, 초음파, 복강경, 복부천자 등의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진단적 복막세척은 복강 내 출혈을 진단하는데 효과적이나 정확한 원인을 결정하기 어렵고, 초음파 검사는 훈련된 사람의 경우 CT와 유사한 정확도를 보인다. 혈역학적으로 안정된 환자에서는 CT 검사가 권장된다.
치료는 원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저혈압을 동반한 복부 둔상, 복막세척상 양성 소견을 보이는 경우 응급 개복술이 필요하고, 혈역학적 불안정성을 보이는 산부인과적 질환에서도 개복술이 필요하다. 반면 간암 등 종양의 파열이나 골반 골절로 인한 출혈에서는 혈관 색전술도 고려된다. 외상으로 인한 간 손상의 경우에는 때로는 수술 없이 경과 관찰이 가능하다. 복강 내 출혈의 치료는 환자의 상태와 출혈 원인에 따라 개별화되어야 한다.
간호 중점사항은 장기와 조직관류를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체액량 확보, 감염예방을 위한 항생제 투여와 무균적 처치, 통증 완화와 안위 증진 등이다. 또한 대량 복부 출혈의 치료법 중 하나인 praperitaneal pelvic packing 수술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1.4.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에 따르면, 입원 당일부터 시행한 모든 검사 결과가 기록되어 있다"" 환자의 혈액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입원 당일 WBC 4.82, RBC 4.31, Hb 12.8, MCV 90.0, Plt 150, PCT 0.18, MPV 10.2, PDW 11.2로 나타났다"" 이후 추적검사에서도 전반적으로 정상범위를 유지하였으나, 2020년 6월 25일에 시행한 혈액검사에서 Seg. neutrophil 87.9(▲), lympocyte 9.0(▼), monocyte 2.9(▼)로 면역기능 관련 지표의 이상 소견이 관찰되었다"" 또한 T.calcium과 I.phosphourus가 지속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다가 점차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Na, K, Cl 등 전해질 수치 또한 불안정하였다""
소변검사 결과에서는 Urine S.G 1.050(▲), Urine OB 2+, Urine RBC 11-15(▲), Urine WBC 3-5(▲), Epi 3-5(▲), Bac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