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비고츠키 인지발달 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1.1. 비고츠키의 생애와 이론 배경
1.2. 근접발달지대와 비계설정
1.2.1. 근접발달지대의 정의와 특징
1.2.2. 비계설정의 정의와 특징
1.3. 언어와 내면화
1.3.1. 언어의 역할과 발달 단계
1.3.2. 고등정신기능의 내면화
1.4.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이론 비교
1.5. 비고츠키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1.5.1. 놀이 활동을 통한 학습
1.5.2. 언어 활동을 통한 학습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1.1. 비고츠키의 생애와 이론 배경
비고츠키의 생애와 이론 배경은 다음과 같다.
비고츠키는 벨라루스 출신의 러시아 심리학자로, 1896년 러시아에서 태어났다. 그는 러시아 혁명을 겪으며 사회주의 사상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비고츠키는 발달심리학 분야를 시작으로 폭넓은 분야에서 실험과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37세의 젊은 나이에 결핵으로 사망하였다.
비고츠키는 아동과 사회와의 관계에 큰 비중을 두었다. 그는 아동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영향을 받고 성장하는 사회적 존재라고 보았다. 따라서 아동의 학습에 있어서도 사회문화적 성질을 강조하였다. 비고츠키에 따르면 학습은 아동의 근접발달영역 내에서 작용할 때 일어나는데, 이는 아동이 혼자 해결할 수 있는 수준과 성인의 도움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수준 사이의 차이를 의미한다.
이러한 비고츠키의 관점은 피아제와 차별화되는데, 피아제가 개인의 내적 요인을 강조한 것에 비해 비고츠키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발달을 중시하였다. 비고츠키는 언어와 내면화 과정을 통해 아동의 고등정신기능이 발달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이론적 관점은 특수교육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1.2. 근접발달지대와 비계설정
1.2.1. 근접발달지대의 정의와 특징
근접발달지대는 아동이 독자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제적 발달 수준과 성인의 지도나 유능한 동료와의 공동 노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잠재적 발달 수준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근접발달지대는 비고츠키가 전통적인 지능검사에 대한 반대의 견해를 피력하는 과정에서 소개된 개념이다" 비고츠키는 당시 사용되던 지능검사가 인간의 "화석 같은" 능력만을 측정한다고 보았으며, 아동의 잠재적 학습능력을 측정하는 것에 관심을 가졌다" 이에 따라 근접발달지대 개념을 제시한 것이다"
근접발달지대는 학습과 인지발달이 역동적으로 일어나는 민감한 영역으로, 아동이 혼자서는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들이지만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받으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로 구성된다" 비고츠키에 따르면 교육의...
참고 자료
김정희 외,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02
이용호 저, 정신건강론, 공동체, 2007
아동, 청소년, 가족 상담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