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특수학생과 일반학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특수교육대상자와 일반 학생의 교실 내 관계
1.1. 특수학급의 특수교육대상자와 일반 학생의 마찰 예방과 중재
1.2. 특수교육대상자와 일반 학생의 사회적 관계
1.2.1. 특수교육대상자와 일반 학생 간 교우관계 형성의 어려움
1.2.2. 장애인식개선교육과 통합교육의 필요성
2.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교육과정 비교
2.1.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교육과정의 차이
2.2.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아쉬운 점
2.3.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통합교육 체제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특수교육대상자와 일반 학생의 교실 내 관계
1.1. 특수학급의 특수교육대상자와 일반 학생의 마찰 예방과 중재
특수학급의 특수교육대상자와 일반 학생의 마찰은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예방과 중재가 매우 중요하다. 특수학급의 특수교육대상자들은 일반 학생들과 함께 종일 학급에서 수업을 듣지 않아 학교에 있는 시간 중 급우들과 함께 있는 시간이 많지 않다. 이로 인해 특수교육대상자 학생들이 급우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기 어려워지고 결국 학급에서 소외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특수교육대상자와 일반 학생 간의 마찰은 주로 저학년에서 많이 나타나며, 저학년 시기에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실시하여 장애에 대한 바른 이해와 수용의 태도를 기를 필요가 있다. 이때 교육은 일회성으로 끝나서는 안 되며, 정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고학년 학생들의 경우 더 심각한 왕따와 폭력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학교폭력예방교육'도 함께 실시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한편, '함께하는 특수교육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특수교육대상자와 일반 학생이 직접 눈으로 보고 몸으로 활동하며 서로를 이해하고 돕는 기회를 가진다면, 자연스럽게 장애학생과 친해지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예방 교육과 더불어 직접적인 체험 활동을 병행한다면 특수교육대상자와 일반 학생 간의 마찰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특수교육대상자와 일반 학생 사이에 마찰이 발생한 경우, 교사는 절대 방관해서는 안 되며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때 교사는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며 가해자와 피해자의 이야기를 공평하게 들어야 한다. 심각한 폭력 사태의 경우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를 열어 엄중한 조치를 취해야 하며, 그렇지 않더라도 학생들의 행동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원만한 교우 관계를 지속할 수 있도록 교사가 지원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특수교육대상자와 일반 학생 간의 마찰을 예방하고 중재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교사는 마찰 상황을 예견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공평성과 중립성을 유지하며,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체험 활동을 통해 장애에 대한 이해와 수용의 태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1.2. 특수교육대상자와 일반 학생의 사회적 관계
1.2.1. 특수교육대상자와 일반 학생 간 교우...
...
참고 자료
곽지영(1994). 장애아동에 대한 또래집단의 태도조사,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성애(1997).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의 긴장관계, 한국특수교육학회 연구 발표회, 제61회, 한국특수교육학회.
박승희(1994). 일반학급의 비장애학생과 특수학급의 장애학생과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일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심포지엄, 제11회, 한국특수교육학회.
윤혜경(1994). 친구를 사귀는 전략지식, 사회적 행도 및 또래 수용도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경희(1990). 형제간 상호작용에 관한 관찰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윤상(1994). 사회심리학 : 관점과 이론, 서울 : 경문사.
전병재(1997). 인간과 사회. 서울 : 경문사.
제주영지학교(1996). 통합교육을 통한 장애학생의 사회적응능력 신장, 특수교육원구학교 연구보고서.
최혜순(19920. 유아사회성 발달과 교육, 서울 : 학문사.
Foley, J.M.(1979). Effects of labeling and teacher behavior on children`s attitudes.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83. 380-384.
Frotz, M.F.(1990). A comparison of special interactions using a friendship awareness activate,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2594, pp. 352-359
Goodman. H., Gottlieb, J., & Garrison, R. H(1972). Social acceptance of EMR`s integrated into a nongraded elementary school,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76, pp.412-417.
Gottlieb, J. & Gottlieb, B. W. (1977). Stereotypic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handicapped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82, pp. 65-71
Homeborn, M. C.(1980). The development of social interchange patterns from 12 to 14 months. Child Development, 51, pp.448-456
Jacobson, J. L.(1981). The role of inanimate objects in early peer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52, pp. 618-626
Mueller, E. & Brenner. J. (1977). The origins of social skills and interaction of playgroup toddlers. Child Development, 48, pp. 854-861.
Mueller, E. & Vandell, D. L(1979). Infant-infant interaction : An empirical and conceptual review. In J. D. Osofsky(ED.). Handbook of infant development, New york : Wiley.
Voelts, L. M(1984). Children`s attitude toward Handicapped peers,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14, pp. 205-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