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
1.1. 보웬 가족치료 이론의 발달 배경
보웬 가족치료 이론의 발달 배경은 다음과 같다.
M. Bowen은 1950년에 정신분열증 환자와 관련된 가족성원들에 대한 개발치료를 하면서 가족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The Menninger Clinic에서 환자의 치료에 가족을 포함시켰을 때 치료의 효과가 있음을 발견한 이후 환자의 가족 사이의 정서적 밀착에 흥미를 가지기 시작하였다. Bowen은 연구결과 한 가족 성원의 정신분열증은 병리적 가족체계의 증상이라는 것과 증상은 그가 속한 2전서체계와 관련지어서만 설명이 가증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 중요한 발견은 기능장애를 유발하는 역기능적인 역동성이 정신분열증 환자 가족에게만 있는 이 아니라 정도는 약하지만 정상 가족에게도 존재한다는 사실이었다.
Bowen 이론이 체계이론으로 분류되는 이유는 가족을 체계, 즉 한 부분의 변화는 다른 부분의 변화를 가져온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Bowen이 관심을 가진 것은 가족체계에 있어서 가족의 상위체계나 하위체계의 구조보다는 "정서적 관계체계"이다. 정서적 관계체계는 의사소통, 상호작용 그리고 다른 관계형태를 등을 포함한다. 보웬을 이론가로 분류하지 않는 이유는 의사소통을 더 넓은 관계체계의 일부로 보았기 때문이다. 보웬의 이론은 많은 가족치료사의 관심을 끌었고 또한 많은 가족치료사들을 훈련시켰다.
1.2. 보웬 가족치료의 핵심 개념
1.2.1. 자기분화
자기분화는 Bowen 가족치료 이론의 중심 개념이다. 자기분화란 개인이 가족 구성원들로부터 심리적으로 독립된 정도를 의미한다. 이는 전 생애에 걸친 큰 과제로서 원가족으로부터 심리적인 독립을 이루면서도 그들과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능력을 말한다.
자기분화가 잘 된 사람은 어떤 문제에서든 자신의 분명한 입장을 취할 수 있다. 반면 자기분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사람은 자주적인 정체감이 부족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순종, 반항, 충동적 반응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Bowen은 이를 "비분화된 가족자아 집합체"라고 개념화하였다.
개인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자아분화 정도는 정서적 기능과 지적 기능 사이의 융합 또는 분화 정도를 반영한다. 자아분화 수준이 낮을수록 가족 구성원들과의 정서적 융합 정도가 높은 경향이 있다. 반대로 자아정체감이 강한 사람은 자신의 확신과 분명한 신념을 표현하고 타인이나 가족을 위해 지나치게 희생하지 않는다.
Bowen은 개인의 자아분화 수준을 0%에서 100%까지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제시하였다. 0-25%는 가장 낮은 수준으로 자아 융합이 심해 타인 반응에 매우 민감하고 의존적이다. 25-50%는 낮은 수준으로 자아정체감이 분명하지 않아 긴장 상황에서 영향을 받아 쉽게 변화한다. 50-75%는 보통 수준으로 정서와 지적 체계가 충분히 분화되어 자율적 의사결정이 가능하다. 75-100%는 완전한 분화 수준으로 매우 드물며 독립성과 성숙함을 보여준다.
Bowen은 자아분화 수준이 개인의 심리적 문제나 성숙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고 보았다. 자아분화 수준이 낮아도 가족 내 균형이 유지되면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분화 수준이 높더라도 심각한 스트레스에 직면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자아분화 수준이 낮은 사람은 스트레스에 더 취약하고 증상의 회복도 어려운 편이다.
Bowen은 개인의 자아분화 정도는 가족, 특히 원가족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고 보았다. 분화 수준이 낮은 사람일수록 가족 구성원과의 정서적 융합이 강하고, 가족 내 삼각관계에 휘말리기 쉽다. 따라서 가족치료의 핵심 목표는 개인의 자아분화 수준을 높이는 것이다.
1.2.2. 삼각관계
삼각관계란 개인이 다른 가족 구성원과 갈등을 겪을 때 그와 직접 소통하여 해결하기 보다 가족 내의 제3자를 끌어들여 삼각관계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두 사람이 연합하여 다른 가족 구성원을 따돌리거나 외톨이로 만들어 가족의 갈등이 심화된다.
예를 들어, 아내가 남편과의 갈등을 직접 해결하지 못하고 딸에게 집착하며 남편을 멀리함에 따라 남편과의 관계는 더 악화되고 딸의 독립성 발달을 저해하게 되는 것이다. 보웬은 이러한 삼각관계가 가족 내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한다고 보았다.
가족의 삼각관계는 가족 구성원들의 분화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