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젠더란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트랜스젠더란 무엇인가
2.1. 트랜스젠더의 정의
2.2. 트랜스젠더의 역사
3. 트랜스젠더의 성정체성
3.1. 생물학적 성과 사회문화적 성의 구분
3.2. 트랜스젠더의 성정체성 구성
4. 트랜스젠더의 원인
4.1. 선천적 요인
4.2. 후천적 요인
5. 트랜스젠더에 대한 이해와 관점
5.1. 트랜스젠더에 대한 사회적 인식
5.2. 트랜스젠더에 대한 새로운 관점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신분 사회에서 벗어나 개개인의 인권을 존중하고자 목소리를 높이는 시대인 21세기인 만큼 사람들은 소수자의 인권 보호에 관심을 가지며 목소리를 높인다. 그중에선 태어난 성별과 스스로 인식하고 있는 내적 성별이 다르다고 판단하는 트랜스 젠더의 인권도 존재한다. 하지만 여기서 몇 가지 의문이 존재한다. 과연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내적 성별은 과연 누가 지정하고 부여한 사상일까? 그들은 무엇을 기준으로 스스로의 내적 성별이 어떠하다고 판단할 수 있었을까? 과연 그 사상이 가부장적인 사회의 악습으로부터 나온 시선이라고 단정 짓지 않을 수 있을까? 만일 이가 정말로 가부장제의 단순한 고정관념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면, 그들의 젠더 정체성 또한 고정관념이 아니라고 말할 수 있을까?
2. 트랜스젠더란 무엇인가
2.1. 트랜스젠더의 정의
트랜스젠더는 남성이나 여성의 신체를 지니고 태어났지만 자신이 반대 성의 사람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즉 육체적인 성과 정신적으로 느끼는 성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동성애자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동성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사회에서는 동성애자와 트랜스젠더를 동일시 여기는 경향이 있다. 여자 같은 게이(남성 동성애자), 남자 같은 레즈비언(여성 동성애자)을 트랜스젠더라고 하기도 하고 동성애자의 극단적인 모습이 트랜스젠더라고 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잘못된 것이다. 이들은 성전환증에 가깝다. 성전환증이란 '성적 주체성 장애의 가장 심한 형태로서 사춘기 이후에도 자신의 선천적 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불편감과 부적절감을 느끼며 2년 이상 일차 및 이차 성징을 제거하고 상대 성징을 획득하려는 집착에 사로잡혀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사람들은 어려서부터 반대성의 놀이, 행동, 태도, 복장 등을 보인다.
2.2. 트랜스젠더의 역사
트랜스젠더의 역사는 오래전부터 존재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에는 트랜스젠더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팽배했지만, 최근 들어 이들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고대 시대부터 거세를 한 트랜스젠더들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유럽, 동아시아, 아시아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거세술이 시행되었는데, 이는 기독교 국가에서는 금지되었지만 인도 등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는 여전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트랜스젠더에 대한 역사는 오래전부터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대에 들어서는 1930년 독일에서 최초로 성전환 수술이 시행되었다. 이후 1917년 미국에서 여성성전환자(Male to Female)에 대한 유방절제술과 자궁적제술이 진행되었고, 1912년에는 유럽에서도 유사한 수술이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성에 대한 성전환 수술인 남근형성술(Phalloplasty)은 20세기 중반 이후부터 보편화되었다.
이처럼 트랜스젠더에 대한 역사는 오래전부터 존재해왔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과거에는 이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보다 개방적인 태도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를 통해 트랜스젠더가 현대 사회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트랜스젠더의 성정체성
3.1. 생물학적 성과 사회문화적 성의 구분
생물학적 성과 사회문화적 성의 구분은 트랜스젠더의 성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
참고 자료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Transgender People, National Center for Transgender Equality, 2016
김준우. "트랜스젠더의 경험을 통해 본 젠더 정체성 형성 과정."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서울
표혜영. "성역할 규범의 수용과 거부에 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13. 서울
오수희, “여성에서 남성으로 성전환 수술 크게 늘었다”, 한국경제, 2007
“Disclosure“, Sam Feder, Netflix, 2020
프랑수아즈 에리티에, 박찬규 역, 인류학자가 들려주는 성과 젠더 이야기, 구름서재, 2017
마리 루티, 김명주 역, 나는 과학이 말하는 성차별이 불편합니다., 동녘사이언스, 2017
주디스 버틀러, 조현준 역, 젠더 허물기, 2015
김미덕(2011), 「정치학과 젠더 : 사회분석 범주로서 젠더에 대한 이해」, 한국정치학회보, 45(2): 31-49.
배은경(2001), 「젠더와 정치에 대한 몇 가지 성찰」, 여성과사회, 13(9): 210-249.
트랜스 젠더로의 삶 하리수
젠저사회에서의 트랜스젠더 읽기 제3의 성 트랜스젠더
네이버지식인
네이버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