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신이나 가족 중에서 한 명을 정하여 그 사람이 주로 경험하는 심리적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심리적 문제와 극복 방안
2.1. 개인이 겪는 심리적 문제
2.1.1. 아들의 결혼에 대한 문제
2.1.2. 동국대학원 석사과정에 대한 부담감
2.2. 심리적 문제 극복 방안
2.2.1. 자동적 사고 인식 및 신념체계 수정
2.2.2. 독거노인의 심리적 문제 극복
2.2.3. 반려동물 상실에 따른 심리적 어려움 극복
3. 성격심리학과 사회학습이론
3.1. 성격의 개념과 변화
3.2. 사회학습이론의 적용 사례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스트레스가 무조건 나쁘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물론, 우리 사회에서 흔히들 스트레스라고 하면 부정적으로 들릴 것이다. '스트레스는 만 병의 근원이다.' 이라는 말을 살면서 여러 번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스트레스는 종류가 크게 두 가지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부정적 스트레스 외에도 유스트레스라는 명칭의 긍정적인 스트레스도 있다. 이 두가지 스트레스의 공통점은 신체가 고도로 항진된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아드레날린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고, 신체에 힘이 생기거나 열이 오르는 경우를 동반하게 된다. 그리고 차분해졌던 마음이 요동치기 시작하고 넓었던 시야도 좁아지게 됨으로써 한 가지에 집중을 하는 상태가 된다. 그것이 부정적이던 긍정적이던 하나에 집착할 수준의 상태를 '스트레스 받았다.'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스트레스의 결과값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게 될수록 마음의 건강해질 확률이 높다.
2. 심리적 문제와 극복 방안
2.1. 개인이 겪는 심리적 문제
2.1.1. 아들의 결혼에 대한 문제
아들이 현재 결혼을 해야 하는 데 걱정이다. 아들의 나이는 차고 있고, 현재 며느리감을 만나지 못하면 손자를 보지 못할 것 같다. 보통의 아버지들이 많이들 걱정하는 부분이라고 생각되지만, 한동안 내 머릿속을 스쳐가는 주요 번뇌 중 하나이다. 결국 아들의 문제를 해결해주지 못하는 점 때문에도 본인이 답답했던 기억이 있다. 아들이 결혼하지 않은 상태는 객관적인 실체이고, 이것에 대한 나의 특정한 신념 때문에 부정적인 스트레스를 받은 것이다. 여기에 대한 신념을 간결하게 열거하자면, 손자를 봐야 한다는 의무감, 보통의 아버지의 경우와 본인의 경우를 비교하려는 마음, 본인이 아닌 타인의 행동이 바뀌었으면 하는 심리, 아들의 문제를 아직도 해결해주려는 마음 등이 있겠다.""
2.1.2. 동국대학원 석사과정에 대한 부담감
대학원에 입학하여 학사 수준이 아닌 석사 수준의 공부를 한다는 것은 분명 부담감이 된다. 부담감이 된다는 것은 앞으로 올 미래에 대해서 부정적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발생하지 않는 문제에 대해서 미리 스트레스를 받는 형태인 것이다.
여기서 해석의 객체는 동국대학원 석사과정에 공부하는 본인일 것이고, 신념은 "석사는 분명히 어렵고 여러 논문도 작성해야 하는데 할 수 있을까? 적응할 수 있을까?"와 같은 신념일 것이다. 이에 대한 질문을 해보면, "석사에 입학 자격이 부여된다는 것은 능력이 있다는 것일 텐데 걱정할 필요가 있는가?", "내가 하고 싶은 공부를 하는데 '적응'에 대해서 고민할 필요가 있는가?", "석사를 통해서 심도 높은 학식을 쌓는 것일 텐데, 너무 졸업에만 사고가 매몰되어 있는 게 아닌가?" 등의 진술 형태가 될 것이다.
질문만 하더라도 본인의 마음이 편해질 것이다. 이처럼 자신에게 고통을 주고 있는 상황에 대해 반성적 사고를 통해 신념체계를 수정한다면, 더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2.2. 심리적 문제 극복 방안
2.2.1. 자동적 사고 인식 및 신념체계 수정
자동적 사고 인식 및 신념체계 수정은 개인이 겪는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매우 중요한 방법이다.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부정적인 생각이나 믿음은 그 사람의 행동과 감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
참고 자료
김효혜, 「 "오전 7시반에 품절…동네 한 시간 돌았지만 장렬히 실패"…한국인은 왜 스타벅스 굿즈 열광할까 」,매일경제, 2021-08-12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8/783273/
이주영; 김지혜. 긍정적 사고의 평가와 활용: 한국판 긍정적 자동적 사고 질문지 (Automatic Thought Questionnaire-Positive: ATQ-P) 의 표준화 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2, 21.3: 647-664.
윤현숙; 박재연; 임연옥. 한국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충동에 이르는 경로분석: 실존적 영성, 가족의 지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010, 41.4: 81-105.
김양님, 노인우울증의 문제와 극복 방안 : 하인즈 코헛(heinz Kohut)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일장신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6.
김수연, 반려동물을 상실한 여성 애도 미술치료 사례, CHA 의과학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8.
권재선 저, ‘자기 조절 능력 함양을 위한 도덕 교육 방안 : 반두라의 사회 학습 이론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인천, 2007
부산디지털대학교 성격심리학 강의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