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의료인 협력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의료인 간 협력의 필요성과 중요성
1.1. 현대 보건의료에서의 협력 필요성
1.2. 병원 조직의 특성과 협력의 필요성
1.3. 협력의 개념 정의 및 특성
1.4. 협력의 중요성
1.4.1. 중복 노력 방지
1.4.2. 기술 효율 극대화
1.4.3. 의료 오류 감소
1.4.4. 간호사 윤리강령
1.4.5. 팀 내 갈등 제거
1.4.6. 의료서비스 질 향상
1.4.7. 만족도 향상
1.4.8. 간호사-의사 협력
2. 의료인 간 협력의 문제점
2.1. 여성건강간호실습 중 협력 실패 사례
2.2. 원인 분석
2.3. 협력 방안
3. 학생의 의료인 협력 사례와 결과
3.1. 사례 내용과 결과
3.2. 실습을 통한 학생의 느낀 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의료인 간 협력의 필요성과 중요성
1.1. 현대 보건의료에서의 협력 필요성
현대 보건의료에서의 협력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보건의료에서 병원 내 환자의 중증도는 점점 높아지고, 지역사회 환자의 의료 및 간호 서비스 요구도도 높아짐에 따라 의사나 간호사 등 제공자 중심의 케어 서비스에서 환자 중심의 케어 서비스로 전환되고 있다. 환자 중심의 케어를 통해 다양한 임상 현장에서 보건의료의 질을 높이고 동시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보건의료 서비스 기관 간, 전문직종 간, 동일 직종 간 혹은 환자 가족과 의료진 간 업무의 조정과 협력이 필수적이다.
둘째, 병원 조직은 다양한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업무를 진행하는 전문조직집단이다. 이들은 자기중심적 성향이 강하며, 환자진료와 치료라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 경쟁적 갈등이 초래되기 쉽다. 이렇게 병원의 업무는 진료기능과 보조기능 그리고 관리기능이 다양하게 분산되고 전문성으로 인한 복잡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상호간의 협력이 절대적 요소이며, 협력을 통해 최고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셋째, 여성은 생리기능뿐만 아니라 육아와 가사, 직장과 사회인으로서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여성의 건강은 사회가 여성에게 주는 관심과 대우에 따라, 그리고 여성에 대한 사회적 가치와 문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이에 여성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여성에 대한 근본적이고 총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가족과 사회의 관심과 노력이 함께 필요하다.
이처럼 현대 보건의료에서는 환자 중심의 질 높은 의료서비스 제공과 여성 건강증진을 위해 보건의료 분야 간, 직종 간, 가족 간 협력이 매우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병원 조직의 특성과 협력의 필요성
병원 조직은 다양한 특성과 기술집약적 기술을 필요로 하는 조직으로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행정직원 등 각각의 업무분야가 상이한 동시에 상호협조에 의하여 진료가 이루어지며 조직구조가 복잡한 만큼 관리상의 어려움도 많다. 물적 자원과 인적자원의 관리가 중요하지만인적자원의 효율이고 효과적인 활용이 병원조직의 성패를 좌우하게 된다. 병원조직은 집약적 기술(intensive technology)을 요구하는 조직이므로 갈등이 발생하기 쉬우며 따라서 조정과 협조가 곤란하다고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하면서 이질적인 구성원으로 조직된 병원조직은 다른 조직에 비하여 학력· 성별· 연령· 지식 등에 있어 심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일반 조직과는 달리 병원조직은 심각한 갈등을 항상 비협조에 의해 전체의 기능이 마비될 수 있는 만큼 집단 간의 갈등현상은 우려되는 바가 크다. 과거에는 의사가 절대적인 지위에서 병원조직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의사중심의 운영체계라고 볼 수 있으나 최근에는 의료기술과 의료기기의 발달로 진료의 대부분이 의사 이외의 구성원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병원조직의 특성으로 인해 의료인 간 협력의 필요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1.3. 협력의 개념 정의 및 특성
협력이란 개개인 전문직이 가지는 독자성과 고유성을 존중하고 각각의 전문직이 제공하는 원조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적절한 의사소통을 통하여 조정을 도모하고, 팀을 갖추고 한 가지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협력은 둘 이상의 전문 분야가 참여하여 환자의 치료나 건강증진과 같은 목표와 과업을 성취하기 위해서 활동을 계획하고 의사전달을 하는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협력의 특성으로는 구조화되고 공식적인 협력의 형태가 팀(team)이며 공식적인 팀이 함께 활동하는 것을 팀워크(team work)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의료 환경 안에서 팀 협력이 증가되고 있지만, 여러 분야의 전문직들이 팀을 이루어 일을 하다보면 역할 갈등이나 기능의 혼선이 발생하여 팀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하기도 한다"" 또한 조직 내에서 팀 구성원간의 파워를 중심으로 하는 몰이해, 혹은 팀 구성원 간의 능력차이나 팀 구성원의 개인적인 성격상의 문제로 팀 협력을 방해하는 경우도 있다""
1.4. 협력의 중요성
1.4.1. 중복 노력 방지
팀들은 상호 보완적 관계를 맺으며 하나의 공통적인 목적과 일련의 성과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책임을 공유하며 공동 접근법을 통하여 수행한다. 결과로 중복의 ...
참고 자료
간호행정학회지 25(2), 2019.3, 73-82(10 pag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5(2), 2019.3, 73-82(10 pages)
김종래. 2009. 병동에서의 전문인력간 업무협력에 대한 의사 및 간호사의 인식. 한양대학교 : 서울. 9-10.
서서영. 2016. 노령 간호인력에 대한 보건의료인의 인식. 한양대학교 : 서울. 4-5.
김수진. 2019. 외래환자의 약물요법 관련 전문직간 협력에 대한 의사와 약사의 인식. 차의과대학교 : 경기도. 5-6.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16). 제8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Ⅱ. 경기도 파주 : 수문사
염영희 외(2017), 개정 6판 학습성과기반 간호관리학, 경기도 파주 : 수문사
손연정, 이연아, 심경란, 공성숙, 박영수.(2013).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소진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기본간호학회지,20(3),278-288.
권의옥, 이명하, 정석희, 김희선.(2019).간호사-의사 협력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간호행정학회지,25(3),186-197.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수정판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1”. 수문사. 2022. 경기도 파주시
신미자, 김성진, 김지미, 김현경, 남정자, 이종율, 전민경 외 공저. “개정판 간호관리학”. 수문사. 2022. 경기도 파주시
이은경, 김옥현.(2009).간호사의 전문 인력 간 협력과 대인 의사소통 능력.의료커뮤니케이션,4(1),49-57.
안효자 외. 2018.09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