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체육 교육과정 모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체육교육과정의 중요성
1.2. 체육교육과정 모형의 개념
2. 체육교육과정 모형의 종류
2.1. 학문중심 모형
2.2. 스포츠 교육모형
2.3. 발달단계 모형
2.4. 체력교육 모형
2.5. 움직임교육 모형
2.6. 인간중심 모형
2.7. 개인의미 모형
3. 체육교육과정 모형 간 비교
3.1. 가치정향 측면
3.2. 교과내용 측면
3.3. 적용 가능성 측면
4. 결론
4.1. 체육교육과정 모형의 활용방안
4.2. 체육교육의 근본적 목적 유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체육교육과정의 중요성
교육과정에 어떤 내용이 담겨지고 어떠한 사조를 기본 바탕으로 형성되는지, 또 어떻게 운영이 되는지에 따라 한 나라의 교육의 목적과 목표가 정해지고, 나아가서 그 나라의 미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이다.
체육교육과정은 학교 체육의 목적과 내용에 대한 사항들이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고, 학교 체육의 목적과 내용에 대하여 그동안 다양한 관점들이 각축을 벌여 왔다. 즉, 체육교육의 개념, 목적, 내용, 방법, 제도 등은 그 사회의 지배적인 시대적·사회적·지적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는 철학 사상에 의해 변천 되어 왔다. 그에 따라 학교 교육현장에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실현계획, 실천프로그램으로 만들기 위하여 여러 가지 '체육교육과정 모형'이 생겨났다.
1.2. 체육교육과정 모형의 개념
체육교육과정 모형이란 체육교육과정의 기본 바탕이 되는 관점과 이념을 바탕으로 하여 학자들이 구체적으로 체육교육의 내용, 방법, 평가 등을 진술해 놓은 체계"이다.""체육교육과정의 개념은 이념적 수준, 문서적 수준, 실천적 수준에서 규정되고 있는데, 이런 체육교육과정의 기본바탕에 맞추어 현장에서 행하는 교수행동을 할 때 교육내용의 선택, 구조, 계열성을 결정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해주는 체계가 바로 체육교육과정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즉, 체육교육과정 모형은 체육교육과정의 이론적 바탕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화한 것이며, 체육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평가 등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따라서 체육교육과정 모형은 체육교육과정의 개념을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틀이자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2. 체육교육과정 모형의 종류
2.1. 학문중심 모형
학문중심 모형은 1960년대 Henry의 체육의 학문성에 관한 논의에서 출발하여 Lawson과 Placek 등에 의해서 체계화된 모형이다. 이 모형은 목표나 결과 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교육 모형이라 할 수 있다. 이 모형에서는 운동기능은 물론이고 문제해결을 위한 이론적인 지식의 적용도 강조되기 때문에 초등학교보다는 중등학교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일련의 학자들은 초등학교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움직임 교육 모형이 초등학교에서만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이기 때문에 그 대안으로 학문중심 모형을 제시하였다. 문제해결을 위한 이론적인 지식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초등학교에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교육모형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는 5차 교육과정에서 정의적, 인지적, 심동적의 3영역의 체육교육과정의 목표가 정해지면서 이 모형의 개념이 실제 교육과정에 반영되었다. 즉, 체육교육의 목표가 단순한 신체기능의 향상이 아니라 그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문제해결력 함양을 포함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학문중심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운동수행기능을 완벽하게 숙달해야 하고 운동의 과학적 기초에 통달하여야 하며 그러한 과학적 지식을 학생들에게 적절히 가르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문제해결 방법을 실시하는 과정이나 실험실에서는 교사와 학생 양자의 역할 및 행동의 변화가 요구되는 등 실행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는 한계점이 지적되고 있다.
2.2. 스포츠 교육모형
스포츠 교육모형은 1982년 Siedentop에 의해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이 모형의 기본적인 개념은 스포츠를 통해 그 자체적으로 심동적, 정의적, 인지적인 발달을 꾀하는 것이다"" Siedentop은 이 모형을 소개한 뒤 1998년 체육수업모형으로 이 모형을 적용하는 등 이 모형에 열정을 보였다""
이 모형은 본질적으로 놀이의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Siedentop의 스포츠 교육모형 개발의 기초가 된 놀이 이론적 가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는 다소 발달된 형태의 놀이다"" 둘째, 스포츠는 우리 문화의 중요한 한 부분이다"" 셋째, 스포츠가 우리 문화의 중요한 한 부분이기에 학생들은 체육의 내용으로 스포츠를 배워야 한다"" 넷째, 스포츠에의 참여는 발달단계에 맞추어 이루어져야 한다""
스포츠 교육모형에서의 목적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스포츠에 관심을 갖게 하고 훌륭한 스포츠맨으로 만드는 것이다"" 즉, 어떠한 운동기술을 배우는 것보다는 놀이를 통하여 그 속에 있는 스포츠맨십과 전략, 전술 등을 익히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또한 그로인해 성인이 되어서도 스포츠에 관심을 갖고 평생체육의 기반을 다지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이러한 스포츠 교육 모형의 목적으로 인해 스포츠 교육 모형에서의 수업은 한, 두 가지의 종목을 가지고 한 시즌동안 학습 활동이 진행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것은 전통적인 종합상자형의 모형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의 기능을 단기간에 많이 알려준다는 입장과는 다른 특징이다""
2.3. 발달단계 모형
발달단계 모형은 학교체육 내에서 오랫동안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모형으로, 그로인해'전통적 모형'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체육교육의 여러 모형과 마찬가지로"신체를 통한 교육"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매슬로우의 욕구 이론에 영향을 받은 학자들에 의해 제시되었다. 즉, 인간은 항상 어떠한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하고 있고, 그 욕구가 충족되면 그 다음 단계의 욕구를 다시 느끼게 되며 궁극적으로는 사회적 자기실현이라는 최종의 욕구를 성취시키려고 한다는 이론을 수용한 것이다.
이 모형에서 하고자하는 교육과정의 모습은 전인적인 인간, 즉 심동적, 인지적, 정의적으로 성숙된 인간을 육성하고자 하는 모습이기 때문에 그만큼 기본적이면서 다양한 체육활동을 한꺼번에 제공하려고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종합상자형 모형'이라고 불릴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초등학교에서 움직임 모형과 함께 가장 많이 쓰이는 모형 중에 하나인데, 초등학교 교사들의 생각이 학생의 성장을 돕는 것이 자신들의 임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 발달모형에 많은 비중을 두고 체육수업을 한다.
2.4. 체력교육 모형
체력교육 모형은 그 이름과 같이 체력증진을 중요시 여기는 모형이다. 이 모형은 체육교과는 신체적 측면을 다루는 교과영역이라고 규정하면서 '신체를 통한 교육...
참고 자료
강신복, 손천택(1991). 體育敎授理論, 보경문화사.
강신복 역(1994). 체육교육과정이론, 서울 : 보경문화사.
박용연(1998).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 모형의 유형에 관한 분석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초등교육연구, 339-356.
최의창(2000). 체육교육과정 이해하기, 한국스포츠교육학회보, 23호
조미혜(2002). 체육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9(1), 45-62.
유정애 외(2007). 체육수업모형, 서울 : 대한미디어.
정수미(2005). 체육 교육과정 모형의 철학적 배경,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Jewett, A. E.& Bain, L. L.(1985). The curriculum process in physical education, Dubuque, IA : Wm C. Brown.
강신복 역(2008). 체육교육과정이론. 서울: 보경문화사.
강신복, 곽은창(1997). 스포츠교육학 연구의 발전과 전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4(1), 29-54.
곽은창, 주병하(2013). 또래전술게임수업모형(PTGM: Peer Tactical Game Model)이 중학생의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0(1), 127-142.
손천택(2010). 체육교육학습론. 서울: 보경문화사.
이병관(2004). 체육수업모형의 운동종목별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스포츠리서치, 15(2), 891-901.
유정애(2001). 학습유형과 체육수업지도에의 적용.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8(1), 99-117.
윤명희(1998). 체육교육과정개론. 서울: 태근문화사.
정도상, 김신겸(1999).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원양성기관의 체육교육과정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체육학회지, 38(3), 345-358.
최덕묵(1998). 고등학생의 목표, 과정중심 교육과정 모형에 대한 체육목표 인식도 분석. 한국사회 체육학회지, 10(0), 163-171.
최의창(1996). 체육교육과정탐구. 서울: 태근문화사.
Bain, L. L.(1978). Status of curriculum theory in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Recreation. 49(3), 25-26.
Corbin, C. B., and R. Lindsey. 1983. Fitness for life. Glenview. IL: Scott. Foresman.
Cothran, D. J. & Ennis, C. D.(1999). Alone in a crowd: meeting student's needs for relevance and connection in urban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Tendng in Physical Education, 18, 234-247.
Gallahue, D. L., P. H. Werner. and G. C. Luedke.(1975). A conceptual approach to moving and learning.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Helison, D.(1973). Humanistic Physical Educa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Jewett. A. E., and M. R. Mullan.(1977). Curriculum design: Purposes and processes in physical educarion teaching-learning. Washington. DC: AAHPER.
Johnson, P. B., W. S. Updyke, M. Schaefer, and D. C. Stoldberg.(1975). Sport. exercise and you.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Lochem L. R., and J. D. Massengale.(1969). Movement education-A description and critique. In Newperspectives of man in action, ed. R. C. Brown and B. J. Cratt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Michael Metzler(2012). 체육수업모형. 서울: 대한미디어.
Siedentop, D.(1980). Physical Education: Introductory analysis. Dubuque, IA: Wm. C. Brown.
Siedentop, D, Mand, C. & Taggart, A.(1986). Physical Education: Tending and Curriculum Strategies for Grades 5-12. Mountain View: CA, Mayfield.
Stanley, S.(1969). Physical Education: A movement orienntation. Montreal: Mc Graw- Hill of Canada.
강신복, 손천택(1991). 體育敎授理論, 보경문화사.
강신복(1993). 체육교육과정이론. 서울: 보경문화사.
강신복 역(1994). 체육교육과정이론. 서울 : 보경문화사.
박대원, 박종률(2012). 국가수준 체육과교육과정의 연구 성과 및 향후 과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9(2), 65-92.
박용연(1998). 초등학교 체육교육과정 모형의 유형에 관한 분석 연구. 초등교육연구, 339-356
유정애 (2010). 왜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체육교사인가?.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4), 1-18.
유정애 외(2007). 체육수업모형. 서울 : 대한미디어.
이옥선 (2013). 중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개정 현황과 전망. 교육연구와 실천, 79, 101-115.
조한무, 전세명(2011).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체육과 교육과정의 구성방향. 한국초등교육, 21(3), 31-44.
최의창(2000). 체육교육탐구. 서울 : 도서출판 태근.
Hellison(1978). Beyond balls and bats, Washington, DC : American Alliance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and Recreation.
Jewett, A. E.& Bain, L. L.(1985). The curriculum process in physical education, Dubuque, IA : Wm C. Br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