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기업 재무 분석
1.1. 삼성전자의 유동성 분석
삼성전자의 유동성은 유동비율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유동비율은 (유동자산÷유동부채)×100(%)의 계산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삼성전자의 52기, 51기, 50기의 유동비율을 각각 계산해 보면 다음과 같다.
52기의 유동비율은 (198,215,579/75,604,351)*100%로 약 262.17%이다. 이는 삼성전자가 유동부채의 2.6배 정도의 유동자산을 보유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51기의 유동비율은 (181,385,260/63,782,764)*100%로 약 284.37%이다. 이를 통해 51기에는 유동자산이 유동부채의 2.8배 수준이었음을 알 수 있다. 50기의 유동비율은 (174,697,424/69,081,510)*100%로 약 252.88%이다.
분석을 해보면, 삼성전자의 유동비율은 50기에서 51기로 가면서 약 32% 증가했지만, 51기에서 52기로 가면서 약 22% 감소했다. 전반적으로 삼성전자는 유동부채의 2.5배 정도의 유동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경쟁 기업인 LG 전자의 2020년 유동비율이 115.0%이므로 삼성전자의 유동성이 제조기업 중에서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1.2. 삼성전자의 안전성 분석
삼성전자의 안전성은 부채비율로 판단할 수 있다. 부채비율은 (타인자본(부채총계)÷자기자본(자본총계))×100(%)의 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52기의 부채 비율은 (102,287,702/275,948,016)*100%로 약 37.06%이다. 51기의 부채 비율은 (89,684,076/262,880,421)*100%로 약 34.11%이다. 50기의 부채 비율은 (91,604,067/247,753,177)*100%로 약 36.97%이다.
삼성전자의 부채비율은 50기에서 51기로 접어들면서 줄어드는 추세였다가 다시 52기에는 늘어났다. 이는 52기에 해당하는 2020년도에 코로나 19로 인해 경기가 좋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즉, 삼성전자의 부채비율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일시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코로나 19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으로 판단되며, 여전히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3. 삼성전자의 수익성 분석
삼성전자의 수익성은 영업이익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영업이익률은 (영업이익/매출액)*100%로 계산할 수 있다.
삼성전자의 52기 영업이익률은 (35,993,876/236,806,988)*100%로 약 15.19%였다. 51기 영업이익률은 (27,768,509/230,400,881)*100%로 약 12.05%였으며, 50기 영업이익률은 (58,886,669/243,771,415)로 약 24.15%였다.
영업이익률 분석 결과, 2018년도에는 반도체 가격 상승으로 영업이익률이 높았으나 2019년도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