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인지행동모델 인지적 오류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인지행동모델과 인지적 오류
1.2. 인지적 오류의 개념과 특성
2. 자주 사용하는 인지적 오류
2.1. 임의적 추론
2.2. 선택적 추상화
2.3. 개인화
2.4. 이분법적 사고
2.5. 파국화
3. 인지적 오류 개선을 위한 노력
3.1. 주변 사람에게 조언 구하기
3.2. 생각 바꾸기
3.3. 유머 사용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인지행동모델과 인지적 오류
인지행동모델은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해 인지과정과 행동 간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이론"이다. 인간의 사고와 행동은 다양한 인지과정과 상호작용의 결과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인의 인지적인 처리방식과 인식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인지치료의 대표적인 학자 아론 벡(Aaron Beck)은 "인간은 자극에 대해 선별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면서 자극을 유형으로 결합하고 상황을 개념화한다"고 주장하였다. 동일한 사건을 사람들마다 다르게 개념화하지만, 어떤 사람은 유사한 사건 유형에 대해 일관성 있게 반응한다는 것이다.
우울증을 겪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우울증 환자들이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부정적인 방향으로 해석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는 특정한 상황에 대하여 고정된 인지유형에 따라 해석하기 때문인데, 우울한 사람들은 대체로 편향된 인식의 틀, 즉 독특한 역기능적 인지도식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사람들은 특정 상황에 처하게 되면, 상황과 연관된 도식을 활성화하고 이 도식에 따라 정보를 조직화하여 처리한다. 동일한 사건을 다르게 해석하는 이유는 인지도식이 다르기 때문인 것이다. 정서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논리적 오류가 있는 역기능적 도식에 따라 정보를 처리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현실을 부정적으로 왜곡하게 된다.
1.2. 인지적 오류의 개념과 특성
인지적 오류의 개념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인간은 주변 환경에서 많은 정보를 받고 이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현상들을 해석하며, 이를 기반으로 어떠한 결정과 행동을 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인지과정은 인지적 오류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인지적 오류는 사람들이 생각, 판단, 신념, 믿음, 사건의 해석 방식에서 실제보다 더 비논리적이거나 비합리적인 사고의 패턴이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우울증 환자들은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부정적인 방향으로 해석하...
참고 자료
길귀숙 외(2015),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양서원.
이인태(2022), 「부도덕한 행동에 대한 합리화 기제로서 인지 왜곡에 대한 연구」, 도덕윤리과교육 74, pp.213-239.
경향신문, 「국민 10명 중 9명 ‘인지적 오류’ 습관」, 2017.02.17.
(www.khan.co.kr/national/health-welfare/article/201702172136015)
휴넷사회복지평생교육원,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교안.
<사회복지기술론> 교안 휴넷평생교육원. 2024 / 위키백과. 인지적 왜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