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생아 청색증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신생아 건강사정 및 간호과정
1.1. 신생아 성숙도 사정
1.1.1. 신경근육 성숙도 검사
1.1.2. 신생아 성숙·미성숙 기준
1.2. 고위험 신생아 문헌고찰
1.2.1. 청색증
1.2.2. 황달
1.3. 간호과정 적용
1.3.1. 우선순위에 의한 간호진단
1.3.2. 간호중재 및 평가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신생아 건강사정 및 간호과정
1.1. 신생아 성숙도 사정
1.1.1. 신경근육 성숙도 검사
신경근육 성숙도 검사는 신생아의 자세를 관찰하고 평가하여 신경계와 근육계의 성숙 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신생아의 전반적인 발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인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신생아를 앙와위로 눕히고 팔과 다리의 굴곡 정도를 관찰한다. 이에 따라 0점에서 4점까지 점수를 부여하는데, 팔과 다리를 완전히 펴고 있으면 0점, 팔과 다리를 90도 이상 강하게 굴곡시키면 4점이 된다. 점수가 높을수록 성숙도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square window 검사를 시행한다. 신생아의 손등을 부드럽게 누르면서 손목을 굴곡시키는데, 손목의 굴곡 각도에 따라 0점에서 4점까지 점수를 부여한다. 손목 각도가 90도 이상이면 1점, 0도이면 4점으로 평가하며, 점수가 낮을수록 성숙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arm recoil 검사를 시행한다. 신생아의 팔을 약 5초간 굴곡시킨 후 풀어주면서 팔이 되돌아오는 정도를 관찰한다. 팔이 90-110도로 되돌아오면 3점으로 평가하며, 점수가 낮을수록 성숙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신경근육 성숙도 검사 결과를 종합하면 신생아의 성숙도와 미성숙도를 구분할 수 있다. 자세, 손목 각도, 팔의 되돌아오기 반응 등이 모두 성숙 수준에 해당하면 신생아의 발달이 양호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1.1.2. 신생아 성숙·미성숙 기준
신생아 성숙·미성숙 기준은 신생아의 발달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요 지표이다. 신경근육 성숙도 검사를 통해 신생아의 자세와 움직임에 대한 반응을 관찰하여 성숙도를 판단할 수 있다.
자세 검사(Posture)에서는 신생아를 앙와위로 눕히고 팔과 다리의 굴곡 정도를 0점에서 4점까지 평가한다. 팔과 다리를 완전히 펴고 있으면 0점, 둔부와 무릎을 약간 굴곡시키면 1점, 둔부와 무릎, 팔을 약간 굴곡시키면 2점, 팔과 다리를 약 90°로 굴곡시키면 3점, 팔과 다리를 90° 이상 강하게 굴곡시키면 4점으로 평가한다. 이를 통해 신생아의 성숙도를 파악할 수 있다.
손목 각도 검사(Square Window)에서는 손목을 돌리지 않은 채 검사자의 검지와 장지로 신생아의 손등을 부드럽게 눌러 손목을 굴곡시키고, 그 각도를 1점~4점으로 평가한다. 90°이상이면 1점, 90°-0°이면 0점, ...
참고 자료
아동건강간호학 II 수문사 제32장 신경장애 p.119
이수연 외 5명, 아동건강간호학 총론, p213-230, p373-376, 수문사
이수연 외 5명, 아동건강간호학 각론, p857-870, 수문사
아동간호진단, 조결자 3명 외 공저, 현문사, 2000년 11월 27일 발행
신생아 간호, 김미예 외 10명, 군자출판사, 2008년 3월 5일 인쇄
이수연 외 5명 (2019년), 아동간호학 총론, P208~209 ,수문사
피수영 외 12명(2014년), 신생아 진료 지침, p1-7, p261-268, p310-320, 대한신생아학회
naver 지식백과, 청색증,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95550&cid=60289&categoryId=60289
국립중앙의료원 의학정보, 동맥관개존증http://www.nmc.or.kr/html/medicaldiv/pop_mDiv_faq.asp?pcd=9&idx=9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동맥관 개존증」,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803&cid=51004&categoryId=51004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킴스, https://www.kimsonline.co.kr/
개정3판 아동간호학, 현문사, 조결자외, 2005년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현문사, 김조자외, 2008년
NANDA 간호진단별 간호중재 가이드북, 김정애외, 2009년
성숙 미성숙 기준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elon644&logNo=220796196504&parentCategoryNo=&categoryNo=26&viewDate=&isShowPo
pularPosts=true&from=search
신생아 건강간호(김미예) 2018. 수문사. p122~124, p 190~192
아동 건강증진간호(김미예) 2018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