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투약오류 예방을 위한 간호활동
1.1. 투약오류의 특성 및 유형
투약오류의 특성 및 유형은 다음과 같다.
투약오류는 의료진이 환자에게 약물을 처방, 조제, 투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수이다. 이는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매우 심각한 사고로, 약물의 종류, 용량, 투여 경로, 투여 시간 등이 잘못되거나 누락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투약오류의 주요 유형에는 "Right drug" 원칙 위반, 즉 잘못된 약물 투여, 용량 오류, 투약 시간 오류, 투약 경로 오류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처방전 확인 부족으로 인해 환자에게 잘못된 약물을 투여하거나, 약물 용량을 잘못 계산하여 투여하는 경우, 약물의 투여 시간을 지키지 않는 경우, 경구투약이 필요한데 주사로 잘못 투여하는 경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투약 전 환자 확인 소홀, 약물과 투여 경로의 혼동, 약물 정보 및 지식 부족, 의사소통 실패 등으로 인한 오류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이름이나 투여 부위를 확인하지 않고 투약하거나, 유사한 약물명이나 포장을 혼동하여 잘못된 약을 투여하는 경우 등이다.
이러한 투약오류는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투약 과정 전반에 걸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안전 절차를 엄격히 준수해야 한다.
1.2. 투약오류 예방을 위한 간호사의 역할
1.2.1. 투약의 기본원칙 준수
간호사는 투약의 기본원칙을 준수함으로써 투약오류를 예방할 수 있다. 투약의 기본원칙은 "5권"(Right Drug, Right Dose, Right Route, Right Time, Right Patient)이다.
첫째, 간호사는 처방전 상의 약물과 실제 투여하는 약물이 일치하는지 "Right Drug"을 확인해야 한다. 부적합한 약물 투여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간호사는 투약 전 3번 이상 약물명을 확인해야 한다.
둘째, 간호사는 처방된 약물의 용량이 적절한지 "Right Dose"를 확인해야 한다. 과다 투여나 과소 투여는 모두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간호사는 약물 용량을 정확히 계산하고 동료 간호사와 교차 확인하는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
셋째, 간호사는 약물을 처방된 경로대로 "Right Route"로 투여해야 한다. 경구, 정맥주사, 근육주사 등 각 투여 경로에 따른 지침을 숙지하고 준수해야 한다.
넷째, 간호사는 약물을 처방된 시간에 "Right Time"에 투여해야 한다. 약물 간 상호작용이나 부작용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투여 시간을 엄격히 지켜야 한다.
다섯째, 간호사는 처방전상의 환자명과 실제 투여 대상 환자가 일치하는지 "Right Patient"를 확인해야 한다. 환자 확인 절차를 소홀히 하면 투약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호사는 투약의 기본원칙인 5권을 철저히 준수함으로써 투약오류를 예방할 수 있다. 간호사는 이러한 기본원칙을 숙지하고 실천하여 환자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할 것이다.
1.2.2. 약물 정보 및 지식 습득
간호사는 투약오류를 예방하기 위해 약물 정보 및 지식 습득이 중요하다"" 약물의 작용기전, 부작용, 상호작용 등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의사가 처방한 약물의 용량, 투여경로, 투여시간, 투여대상 등의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