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놀잇감은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는데 놀잇감의 구조성에 따라 구조화된 놀잇감에서부터 비구조화된 놀잇감으로 분류된다. 사실성이 높으며 정형화된 형식으로 사용하여 놀이해야 하는 구조화된 놀잇감과 사실성이 낮고 자유롭게 변화가 가능하여 유아가 자신만의 놀이방법을 선택하여 다양하게 놀이할 수 있는 비구조적 놀잇감이 있다. 구조성이 높은 놀잇감은 실제 사물과 거의 흡사한 놀잇감이며 동시에 사용 방법이 획일적으로 결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경찰 인형, 병원 역할놀이세트, 음식 역할놀이 세트 등이 있다. 반면 비구조적 놀잇감은 놀잇감의 활용 방법에서의 규칙이 정확히 정해지지 않고 완전히 열린 놀잇감으로 사실성이 낮으며 언제든지 변화 가능하고 특수한 용도를 갖고 있지 않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점토, 물, 모래 등이 있다. 이러한 비구조적 놀잇감은 유아가 스스로 놀이를 시작하여 정해진 방법이 아닌 자신만의 방식으로 놀이하는 방법을 탐색하고 자유롭게 놀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유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2. 놀잇감의 유형 및 교육적 가치
2.1. 놀잇감의 유형
놀잇감의 유형은 학자마다 다양하게 구분되고 있다. Matterson(1974)은 상상놀이, 창의적 놀이, 모험놀이의 세 가지 놀이에 따라 놀잇감을 분류하였고, 자연놀이와 조작·협동 놀잇감, 기타 음악 놀잇감과 도서를 추가하여 놀잇감의 유형을 나누고 있다. Riddick(1982)는 흥미 영역에 따라 ① 조작놀이영역, ② 구성놀이영역, ③ 언어영역, ④ 작업영역, ⑤ 역할놀이 영역, ⑥ 사고 및 과학놀이영역, ⑦ 수놀이 영역, ⑧ 음악활동영역, ⑨ 활동놀이영역의 9가지로 나누었다. 또한 Bronson(1998)은 ① 사회적·상상적 놀잇감, ② 탐구 놀잇감, ③ 음악·미술을 위한 놀잇감, ④ 대근육 발달을 위한 놀잇감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 외에도 자연물, 악기, 그림책, 보드게임 등 다양한 유형의 놀잇감이 있다. 이처럼 놀잇감은 유아의 발달과 흥미 영역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2.2. 놀잇감의 교육적 가치
놀잇감의 교육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잇감은 교육의 질과 내용을 결정한다. 적절한 놀잇감은 교사와 유아, 유아와 유아, 유아와 환경 간에 효과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도록 돕기 때문이다.
둘째, 놀잇감은 유아의 놀이 및 활동을 유발시키고 자극한다. 놀이 및 활동에 적합한 놀잇감을 통해 유아는 놀이에 흥미를 가지게 되고 반복하게 되며 자발적으로 행함으로써 배울 수 있도록 돕는다.
셋째, 놀잇감은 유아의 놀이 및 활동을 확장시킨다. 놀잇감을 가지고 놀이 및 활동을 하며 이에 대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