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커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영화 "조커" 소개
1.1. 줄거리
1.2. 주요 등장인물
1.3. 핵심 주제
2. 간호 과정 적용
2.1. 대상자 사정
2.1.1. 주관적 자료
2.1.2. 객관적 자료
2.2. 간호진단
2.2.1. 타인을 살인하는 행위와 관련된 비효과적 충동조절
2.2.2. 부적절한 자기조절, 정서와 관련된 불안정한 정서 조절
2.3. 간호 목표 및 계획
2.3.1. 타인을 살인하는 행위와 관련된 비효과적 충동조절
2.3.2. 부적절한 자기조절, 정서와 관련된 불안정한 정서 조절
2.4. 간호 중재
2.4.1. 타인을 살인하는 행위와 관련된 비효과적 충동조절
2.4.2. 부적절한 자기조절, 정서와 관련된 불안정한 정서 조절
2.5. 간호 평가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영화 "조커" 소개
1.1. 줄거리
주인공인 아서 플렉은 광대 일을 하며 생계를 유지하고 어머니와 둘이 살고 있으며 코미디언이 되길 꿈꾸는 소시민이다. 어느 날, 평소처럼 광대 일을 하며 가게를 홍보하던 중에 느닷없이 10대 강도단에게 홍보피켓을 빼앗기고 저항 한번 못 해본 채 폭행까지 당하게 된다. 이 일로 같은 곳에서 일하는 동료 '랜들'로부터 "스스로를 지킬 때 사용하라"라며 권총을 한 자루 얻게 된다. 아서는 7가지의 약을 복용할 정도로 중증의 정신질환자로 주요 증상으로는 슬프거나 긴장되는 기분이 들 때, 감정과 달리 발작적으로 웃음이 나온다. 이 증상으로 인하여 아이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 한 행동이 괜한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하며, 첫 스탠딩 코미디 도전도 망쳐버리고, 지하철에서도 웃음을 참지 못해 술에 취한 남성 3명에게 구타를 당하기도 한다. 이때 결국 분노로 차올랐던 아서 플렉은 동료에게 얻어뒀던 총으로 지하철 안에 있던 남성 3명을 모두 죽여버리고 만다. 그 이후에는 지금까지 살아왔던 순간들 중 행복했던 추억이던 옆집 '소피'와의 연애는 망상이었고, 아버지라고 생각했던 고담 시의 시장 후보 '토마스 웨인'은 자신을 저버렸으며, 어머니 또한 자신을 학대당하도록 내버려 둔 방관자였음을 알게 되었고, 예전부터 자신의 우상인 '머레이'에게 비웃음 당하는 신세가 되었다. 자신이 견딜 수 없는 여러 가지 힘든 상황이 겹친 주인공 아서 플렉은 그렇게 '조커'가 되어간다."
1.2. 주요 등장인물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아서 플렉(Fleck)은 영화의 주인공으로, 고담 시에 살고 있는 소시민이다. 그는 광고판 도우미로 일하며 어머니를 모시고 살고 있는데, 불치의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 감정 조절이 어려워 갑작스럽게 웃음이 나오는 증상이 있으며, 이로 인해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의 꿈은 코미디언이 되는 것이었지만, 그의 정신질환과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좌절을 겪게 된다. 영화 후반부에는 극단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분노와 좌절감을 표출하며 "조커"로 변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소피(Sophie)는 아서가 좋아하는 이웃 여성으로, 혼자 아들을 키우며 살고 있다. 영화 초반부에는 아서와 교류하며 그에게 어느 정도 희망을 주는 역할을 하지만, 후반부에 그들의 관계가 아서의 망상이었음이 밝혀진다. 이를 통해 아서의 현실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보여준다."
토마스 웨인(Thomas Wayne)은 고담 시의 부유한 사업가이자 시장 후보이다. 아서는 자신이 토마스의 숨겨진 아들이라고 믿고 있지만, 후에 이것이 거짓임을 알게 된다. 이를 계기로 아서의 좌절감과 분노가 극대화된다."
머레이 프랭클린(Murray Franklin)은 유명 토크쇼 진행자로, 아서의 우상이다. 아서는 머레이의 쇼에 출연하게 되지만, 결국 그를 살해하게 된다. 이를 통해 아서의 폭력성과 충동성이 극대...
참고 자료
김선아. (2020). 정신간호총론(제 8판). 수문사.
원종순. (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제 2판). 현문사
토드필립스(감독). (2019). 조커[영화]. DC필름스
네이버 조커검색-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aver?code=167613
박은영 외 공역,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2011
이은희 김유정 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