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의 색채심리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청소년의 색채심리와 치료
1.1. 청소년의 색채심리
1.1.1. 청소년의 색채 특성
1.1.2. 청소년 색채심리의 중요성
1.2. 색채심리치료프로그램 적용 전 모습
1.2.1. 청소년의 문제행동 특징
1.3. 색채심리치료프로그램
1.3.1. 색채심리치료프로그램 내용 및 기대효과
1.4. 색채심리치료의 결과
1.4.1. 긍정적 변화
1.4.2. 지속성 및 일상적 적용 필요성
1.5. 반항성 청소년의 색채심리치료
1.5.1. 반항행동의 원인과 특성
1.5.2. 색채심리치료프로그램 적용 과정
1.5.3. 색채심리치료 후 변화 관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청소년의 색채심리와 치료
1.1. 청소년의 색채심리
1.1.1. 청소년의 색채 특성
청소년의 색채는 각자 경험한 긍정적 및 부정적 기억에 대한 감정적인 반응의 미묘한 차이를 나타내며 반영된다. 일반적으로 청소년들은 억압을 나타내는 검정이 많이 섞인 색채를 선호하는데, 그 이유는 자신이 내사시킨 충동적인 감정을 억압하고 학습이라는 짐 때문에 무거운 색채를 선호하는 것이다.
청소년의 대뇌 시각피질은 성장단계에서 자신을 보호하고 사회로 나아가고 싶어 하는 심리로 인해 독특한 색채이미지를 형성하며, 한편으로 각자의 개성을 다양하게 표현하고자 한다. 또한 색채를 지각하는 과정에서 성인이 되고 싶다는 복잡한 심리적인 작용이 강하게 나타나 화려한 색채보다는 감정을 조금 억압하는 어덜트톤의 색채로 선호하는데, 이것은 행동을 통제하고 개인의 경험을 통해 옳고 그름의 판단능력을 키우며 성장해 가는 색채인 것이다.
특히 이런 색채를 지닌 청소년들의 성격은 자율신경에 자극을 주므로 자유로운 생동감과 리듬감을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춘기에 놓여 있는 청소년들은 약한 화장을 이용하여 예쁘게 보이고 싶어 하며, 이런 방법을 통해 자신의 색채를 적극적으로 표현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청소년은 현재의 당면과제에서 모범적으로 보여야 하는 현실과 쾌락을 추구하고 싶은 갈등으로 인해 자신의 입장은 불안정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즐겁고 싶은 마음은 무시하고 현실에 충실 하라는 성인들의 훈계는 정확한 목표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청소년의 심리적인 감각을 마비시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급변하는 사회에서 청소년의 심리적 변화를 섬세하게 관찰하여 색채심리를 활용한다면 청소년의 기량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1.1.2. 청소년 색채심리의 중요성
청소년의 색채심리는 개인의 감각적 요소를 형성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청소년기는 대뇌 시각피질이 성장하면서 자신을 보호하고 사회로 나아가고 싶어 하는 심리로 인해 독특한 색채이미지를 형성한다. 또한 이 시기 청소년들은 자신의 개성을 다양하게 표현하려 노력한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색채를 지각하는 과정에서 성인이 되고 싶다는 복잡한 심리적 작용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청소년들은 화려한 색채보다는 감정을 조금 억압하는 어덜트톤의 색채를 선호한다. 이러한 색채는 행동을 통제하고 옳고 그름의 판단능력을 키워 성장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청소년의 성격은 자율신경에 자극을 주어 자유로운 생동감과 리듬감을 표현하게 된다.
이처럼 청소년의 색채심리는 개인의 정서와 인지, 사회성 등 다양한 측면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 시기 청소년의 색채심리를 섬세하게 관찰하고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색채심리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긍정적인 발달을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청소년의 무수한 심리적 상황에 대해 적절한 색채 반응을 통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계획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이 선호하는 ...
참고 자료
김선현 저, 색채심리학, 이담북스 2013
이근매 저,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8
김용숙, 박영로 저, 색체의 이해(색채 이론과 활용), 일진사 2013
고현, 유시덕 외 저, 유아동 미술교육과 미술치료, 창지사 2008
오연주, 홍혜자 외 저, 미술치료, 창지사 2014
김선현 저, 색채심리학, 이담북스 2013
이근매 저,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8
김용숙, 박영로 저, 색체의 이해(색채 이론과 활용), 일진사 2013
고현, 유시덕 외 저, 유아동 미술교육과 미술치료, 창지사 2008
오연주, 홍혜자 외 저, 미술치료, 창지사 2014
김제한, 발달심리학, 양서원, 1998
임영식 외 1명, 청소년 심리의 이해, 학문사, 2000
장휘숙, 청년심리학, 전영사,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