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배경
대안학교에 대한 관심과 진학률이 높아진 것은 이제 옛날 일이 아니다. 대안학교에 대한 논쟁은 오늘날까지 뜨겁다. 그러나 예전과 달라진 점이 있다. 과거에 대안학교들은 주입식으로 편중된 교육을 탈피하고 인간중심, 자연중심으로 돌아가자고 외쳤다. 하지만 오늘날 대안학교들의 주장은 더 발전되었다. 단순히 현 교육의 도피처이자 대안으로서 대안학교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전인교육을 통해 각자의 재능을 살려 일반학교에서는 실현하지 못하는 참 인간, 리더를 길러내자는 것이다.
우리나라 교육열, 특히 입시경쟁교육이 더 치열해 질수록 계속해서 새로운 입시제도와 대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하지만 다른 한 편에서는 입시가 아닌 '학생' 자체에 초점을 맞춘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우리는 여러 대안학교가 주장하는 바와 같이 참 교육이 과연 실현 될 수 있는지 오늘날의 인본주의 '대안 학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1.2. 목적
'1.2. 목적'은 대안학교에 대한 관심과 진학률이 높아진 현상을 바탕으로, 오늘날 대안학교의 주장이 전인교육을 통해 각자의 재능을 살려 일반학교에서는 실현하지 못한 참 인간, 리더를 양성하는데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현재 입시경쟁교육으로 인해 다양한 대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입시가 아닌 '학생' 자체에 초점을 맞춘 대안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우리는 여러 대안학교가 주장하는 바와 같이 참 교육이 과연 실현될 수 있는지 오늘날의 인본주의 대안학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2. 대안학교의 개념
2.1. 대안교육의 유래와 의미
대안교육의 유래와 의미는 다음과 같다.
대안교육의 의미는 영어의 'alternative education'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현재 대안교육의 영어식 표현은 대개 'alternatives in education' 또는 'alternative educational'로 사용된다. 미국에서는 이미 1960년대 중반에서 1970년대에 걸쳐 기존의 학교보다 학생들의 요구에 좀 더 부응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학교들이 등장하였고, 이를 가리켜 '자유학교' 또는 '대안학교'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1990년대 이전에도 이미 기존의 학교교육이 지닌 한계에 대하여 논의하고 이를 벗어나려는 다양한 실천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대안교육'이라는 말이 통용되기 시작하였다.
대안교육은 19~20세기 생존경쟁, 적자생존가치 중심의 사회에서 인간간의 유대 단절, 공동체 와해, 자연환경과의 친화력 약화, 인간성의 비인간화 하는 교육에 대한 반기로 나타난 운동이다. 이러한 움직임 중 대안학교는 기존의 학교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시도하는 대안적인 학교의 형태를 말한다. 즉, 지식 위주의 기존 학교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차원에서 모색되고 있는 다양한 실천운동의 하나로 볼 수 있다.
3.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이념
3.1. 평화교육
평화교육은 개개인의 마음의 평화, 계층간, 민족간, 국가간, 인종간의 화해, 인간과 자연과의 조화적 공존, 지구와 우주와의 어울림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대안학교에서는 체제를 초월해서 남한과 북한의 민족공동체 이념의 구현에 초점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