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진단 및 중재
1.1.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1.1.1. 간호진단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에 대한 간호진단은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이다. 이는 체온조절의 실패로 중심체온이 정상 범위 이상으로 상승한 상태를 말한다.
관련 요인으로는 탈수, 부적절한 옷차림, 격렬한 활동이 있으며, 연관 조건으로는 질병, 허혈, 약물, 패혈증, 외상 등이 있다. 특성으로는 무호흡, 저혈압, 홍조를 띤 피부, 빈맥, 빈호흡 등이 나타난다.
본 대상자의 경우 폐와 관련된 염증으로 인해 체온이 정상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에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으로 진단할 수 있다. 대상자는 "더워요. 얼음팩 좀 주세요." 등 열감을 호소하였고, 실제로 체온 측정 결과 37.6도, 38.2도로 높게 나타났으며 CRP 수치도 상승해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대상자의 간호진단은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이라 할 수 있다.
1.1.2. 간호목표
간호목표는 다음과 같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체온이 조절이 된다.""
간호진단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에 대한 단기목표로, 해열제와 냉요법 등의 중재를 통해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 범위 내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체온 조절은 대상자의 상태 호전과 직결되므로 중요한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단기목표 2: 대상자는 3일 이내에 CRP수치가 줄어든다.""
CRP는 염증 지표로, 감염 등 염증 반응이 감소하면 CRP 수치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감염 관리와 항생제 투여 등의 중재를 통해 CRP 수치가 감소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목표이다.""
장기목표 1: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정상 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단기목표를 달성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결과적으로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장기 목표이다.""
장기목표 2: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고체온으로 인한 합병증이 없을 것이다.""
고체온이 지속되면 탈수, 전해질 불균형, 장기 부전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정상 체온을 유지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한 장기 목표라고 할 수 있다.""
1.1.3. 간호계획
간호계획은 간호진단에 따른 장단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간호중재들로 구성된다.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환자의 간호계획은 다음과 같다.
진단적 지시로는 6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체온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염증 및 감염의 지표인 검사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사정하고 중재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치료적 지시로는 우선 해열제를 투여하여 시상하부의 지정온도를 낮춤으로써 체온을 내리고, 항생제를 투여하여 감염 수치를 낮추는 것이다. 또한 냉요법을 적용하여 체열 방출을 돕고, 시원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며 건조한 환의를 입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체온을 직접적으로 하강시키고 체열 손실을 촉진할 수 있다.
교육적 지시로는 충분한 수분 섭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고체온의 증상이 있을 때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체온 관리를 도모하고 적절한 중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간호계획은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환자의 빠른 회복과 합병증 예방을 목적으로 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와 중재에 대한 반응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계획을 수정하여 환자 중심의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1.1.4. 간호수행
진단적 지시로는 6시간마다 V/S를 측정하고 염증과 관련된 CRP 수치를 관찰하였다"이다. 이는 대상자의 상태를 관찰하고 평가하기 위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검사 결과는 감염의 징후를 나타낸다.
치료적 지시로는 Paceta inj.1g/V, Tazolactam inj.4.5g/V, C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