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유아 놀이 관찰 및 분석
1.1. 놀이터 관찰 보고서
만 4세 재현이의 놀이터 관찰 보고서에 따르면, 재현이는 "병행-기능놀이"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현이는 모래를 손으로 쥐어 찍기 도구에 담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보였고, 또래가 있었지만 큰 상호작용은 없었다"." 재현이는 때때로 놀잇감을 가작화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성인이 재현이가 가지고 노는 것이 무엇인지 묻자 "불가사리", "코"라고 구체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재현이가 아직 극화놀이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지만, 성인의 개입과 또래 모방을 통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한편, 성인의 개입이 재현이의 몰입을 방해할 수 있었다는 점은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 지적되었다"." 마지막으로, 만 4세 유아의 놀이 발달 단계에 비추어볼 때, 재현이가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부족하다면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 놀이 발달 단계 및 특성
유아의 놀이 발달 단계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만 1-2세 유아의 경우, 자신의 신체 움직임과 감각을 탐색하는 단순 기능놀이가 주를 이루며, 물건을 집고 놓는 등의 반복적인 행동을 통해 개체 영속성을 습득한다. 또한 부모나 주변 성인의 행동을 모방하는 동작놀이가 관찰되기 시작한다.
만 2-3세 유아는 모래나 블록 등의 소재로 단순한 구조물을 만들거나 가작화(play acting)를 시도하는 구성놀이가 발달한다. 이 시기에는 혼자 놀이하는 병행놀이가 주를 이루지만, 점차 또래와 상호작용하며 함께 노는 협동놀이도 나타나기 시작한다.
만 3-4세 유아는 점차 상상력이 풍부해지면서 극화놀이가 부각되기 시작한다. 역할을 맡아 상상의 상황을 연출하고 표현하는 등 사회적 상호작용이 활발해진다. 또한 규칙이 있는 게임 형태의 규칙놀이도 나타난다.
만 4-5세 유아는 또래와의 협동놀이가 더욱 활발해지며, 역할을 맡아 가작화하며 극화놀이를 즐기게 된다. 주변 환경과 사물을 활용하여 복잡한 구조물을 만들어내는 구성놀이도 발달한다. 이 시기에는 규칙이 있는 게임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가 높아지며, 규칙놀이를 즐기게 된다.
만 5-6세 유아는 다양한 규칙놀이와 극화놀이를 즐기며, 자신의 역할과 규칙을 고안하고 이를 협력하여 수행하는 능력이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