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자기 상담 및 취업 준비 과정 분석
1.1. 사춘기 아들과 갱년기 어머니의 상담 내용
1.1.1. 당면 문제와 호소 내용
사춘기 아들과 갱년기 어머니는 신체적, 심리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먼저 아들은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학업 문제와 예민한 태도로 인해 어머니와 갈등을 겪고 있다. 어머니는 이러한 아들의 모습에 스트레스를 받으며, 동시에 갱년기로 인한 신체적 노화와 증상으로 인해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육체적으로 생의 주기상 갱년기를 맞이하여 노쇠해 가는 몸이 신체적으로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는데 이를 잘 극복하며 사춘기 아들이 휴대폰에 빠져 사는 예민하고 반항적인 이 상황을 학업에 지장이 없으며 잘 극복 해나가서 가족들의 도움을 받으며 화목한 가정을 이루는 것"이 주된 호소 내용이다.
이처럼 사춘기 자녀와 갱년기 부모의 어려움은 서로 연관되어 있어 양측에 대한 이해와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1.1.2. 자녀와의 관계 및 의사소통 방식
자녀와의 관계 및 의사소통 방식은 상담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내담자의 현재 자녀와의 관계 및 의사소통 방식은 다음과 같다.
내담자의 막내 아들은 16세로 고등학교 1학년 사춘기 시기에 접어들었다. 내담자에 따르면 아들은 요즘 매우 예민하고 반항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휴대폰 사용 문제로 갈등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들은 휴대폰을 손에서 놓지 않고 밤낮으로 사용하며, 부모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쉽게 아들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어렵다고 하였다. 내담자는 아들이 휴대폰에 중독되어 학업에 지장을 받을까 걱정스러워했다.
또한 내담자는 자신이 겪고 있는 갱년기 증상으로 인해 예민해져 있는 상태에서 아들의 반항적인 모습에 자주 화를 내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에 따라 내담자와 아들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머니의 갱년기 증상과 아들의 사춘기 문제가 겹치면서 서로를 이해하기 어렵고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처럼 내담자와 아들 간의 관계는 현재 좋지 않은 상태이며, 의사소통 또한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담자는 아들의 사춘기 문제와 자신의 갱년기 문제를 동시에 겪으면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1.3. 상담 목표 설정
상담 목표 설정은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와 상담자가 함께 협의하여 수립하는 구체적인 변화 목표이다. 본 상담에서 내담자인 50대 어머니는 사춘기 고1 아들의 학습 태도와 휴대폰 사용 행동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