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오뚜기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개관
1.2. 본 문서의 목적 및 구성
2. 오뚜기 기업 개관
2.1. 오뚜기의 연혁 및 주요 제품
2.2. 오뚜기의 미션, 비전 및 핵심가치
3. 오뚜기의 이해관계자 분석
3.1. 주주
3.2. 채권자
3.3. 종업원
3.4. 고객
3.5. 납품업자
3.6. 경쟁자
3.7. 환경
3.8. 지역사회
4. 오뚜기의 주요 경영전략
4.1. 지속가능 경영전략
4.2. 지배구조 개선
4.3. 시장 및 고객 대응 전략
5. 오뚜기의 사회적 책임 활동
5.1. 사회공헌 활동
5.2. 환경경영
5.3. 윤리경영
6. 결론
6.1. 오뚜기의 지속가능 경영 성과
6.2.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중요성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개관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개관은 기업이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영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이윤 창출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업은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균형있게 고려하여 경영 활동을 영위해야 하며, 이를 통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기업은 주주 가치 극대화를 최우선으로 삼는 경영 방식을 취해왔다. 하지만 기업의 규모가 커지고 사회적 영향력이 증대되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기업은 단순한 이윤 추구를 넘어 사회적 가치 창출을 경영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이 경제적, 법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을 균형있게 이행함으로써 기업과 사회가 상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은 경영 활동 전반에 걸쳐 환경보호, 사회공헌, 윤리경영 등의 활동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야 하며,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기업이 사회적 가치 창출에 힘쓰고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경우,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형성되어 장기적으로 기업의 경쟁력과 수익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기업은 단기적인 이윤 창출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1.2. 본 문서의 목적 및 구성
"본 문서의 목적은 식품업계의 대표기업인 오뚜기의 지속가능한 경영과 사회적 책임 활동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오뚜기 기업의 연혁과 주요 제품, 미션과 비전, 그리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오뚜기가 추진하고 있는 지속가능 경영전략, 지배구조 개선, 시장 및 고객 대응 전략을 알아볼 것이다. 또한 오뚜기의 사회공헌활동, 환경경영, 윤리경영 등 사회적 책임 활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2. 오뚜기 기업 개관
2.1. 오뚜기의 연혁 및 주요 제품
오뚜기의 연혁 및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다"
오뚜기는 1969년 5월에 설립된 풍림상사를 모태로 하여 시작되었다. 1971년 6월에는 풍림식품공업(주)으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이후 1973년 6월에는 오뚜기식품공업(주)으로, 1980년 6월에는 오뚜기식품(주)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주요 연혁을 살펴보면, 1981년 8월에 미국지사를 설치하였고, 1987년 12월에는 라면업체인 청보식품을 인수하였다. 이후 1988년 3월에는 진라면을 출시하며 라면 시장에 진출하였다. 1989년 5월에는 오뚜기중앙연구소를 설립하였고, 1992년 7월에는 삼남공장을 준공하였다.
1994년 6월에는 중국 강소부도옹식품유한공사를 설립하였고, 1996년 5월에는 (주)오뚜기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00년 11월에는 대풍공장을 준공하였고, 2005년 5월에는 북미법인 '오뚜기 아메리카'를 설립하였다.
2008년 2월에는 '맛있는 오뚜기밥'이 우주식품 최종 인증을 통과하였고, 2009년 7월에는 백세카레가 대한민국 명품 브랜드 대상을 수상하였다. 2010년 10월에는 북경오뚜기를 설립하였고, 2011년 12월에는 안양공장과 삼남공장이 전 품목 HACCP 인증을 획득하였다.
2012년 12월에는 오뚜기 참기름과 꿀유자차가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되었고, 2013년 10월에는 대풍공장이 녹색기업으로 선정되었다. 2014년 11월에는 인천물류센터를 준공하였다.
2017년 2월에는 삼화식품(주)을 흡수합병하였고, 2018년 9월에는 상미식품지주(주)와 (주)풍림피앤피지주를 흡수합병하였다. 2019년 5월에는 오뚜기 50주년 기념식을 개최하였다.
이처럼 오뚜기는 1969년 설립 이래 지속적으로 성장해왔으며, 라면, 소스, 식자재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며 종합식료품 기업으로 자리잡아왔다.
2.2. 오뚜기의 미션, 비전 및 핵심가치
오뚜기의 미션, 비전 및 핵심가치는 다음과 같다.
오뚜기의 생활신조는 '머리 쓰고 땀 흘리자'이며 경영이념으로써 오뚜기 임직원은 식품을 통해 인류의 건강과 행복을 추구하고 있다.
오뚜기의 사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다 좋은 품질: 현재보다 좋은 품질의 식품을 그리고 오늘보다 더 좋은 식품을 끊임없이 만들어 가는 것이 보다 좋은 품질의 식품이 되는 것이다. 품질의 식품만이 국민식생활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회사도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보다 높은 영양: 식품산업의 기본은 영양이다. 높은 영양이란 단순히 칼로리가 높은 식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영양이 높다는 것은 건강하게 살아가는데 필요한 영양분을 골고루 갖춘다는 의미가 되고, 또 사람의 생활을 풍요롭고 다양하게 해준다는 의미에서의 영양이다. 셋째, 보다 앞선 식품: 앞선 식품이란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 낸 식품을 모방해서 만든다는 것이 아니라 제일 먼저 만들어 낸다는 의미이다. 오뚜기는 항상 앞장서서 창조의 기쁨과 보람을 경험하고 앞선 식품을 우리 인류에게 선보인다. 넷째, 인류 식생활 향상에 이바지 한다: 남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은 기쁨과 만족을 준다. 내 생활이 나만을 위해서 보내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 유익했다고 한다면 내 생애는 유익한 것이 된다.
오뚜기의 사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화단결: 뜻을 하나로 이루자. 같은 목표를 갖고 앞서 가자. 둘째, 연구개척: 새로운 제품을 개발, 현 제품을 개선하며 시장을 개척하고 수요를 창조하자. 셋째, 신속 정확: 모든 사항을 신속한 전달과 정보의 공유로서 정확한 판단으로 회사 발전을 이룩하자.
3. 오뚜기의 이해관계자 분석
3.1. 주주
현재 최대주주는 함영준 회장(대표이사)이며, 그의 주요경력으로는 2010년 3월부터 오뚜기 회장직을 맡았으며 2016년 1월부터 오뚜기 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다. 함영준 회장의 소유 주식 수는 994,529주이며 지분율은 28.91%이다. 이외에도 특수관계인들의 주식 소유 현황이 존재하는데, 이는 주주구조의 특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오뚜기는 창업주 일가의 지분이 큰 편이며, 이는 가족경영체제하에서 안정적인 지배구조를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2016년 12월 22일 전 최대주주의 별세 및 상속에 따라 주주가 변동되었는데, 이는 오뚜기의 주주 구조에도 변화가 있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
참고 자료
네이버 금융 (finance.naver.com)
오뚜기 공식 홈페이지 (www.ottogi.co.kr)
오뚜기 사업보고서 (http://dart.fss.or.kr/),
네이버 블로그, 닥터송, 2018. 7. 30, https://blog.naver.com/song_ceo/221329003201, (6월 28일)
서재교, 「사회책임경영 패러다임 변화와 시사점」, 『연구보고서 5호』, 한겨레 경제 연구소, 2011, p22
김성은, 「 오뚜기, 베트남 유통업체 '빅시' 입점…동남아 공략 '속도' 」, 『서울=뉴스1』, 2017-04-17, https://www.news1.kr/articles/?2968863, (6월 28일)
이주현, 「 오뚜기, '2019 화천 토마토축제' 후원」, 『etnews』, 2019.07.24, https://www.etnews.com/20190724000163, (6월 28일)
송현승, 「밀레니얼 세대를 잡아라! 오뚜기의 마케팅전략」, 『소비자평가』 , 2019.08.22 http://www.iconsum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9537, (6월 28일)
이원식, 「브랜드 충성도 1위, 오뚜기.맥심」, 『보건뉴스』, 2018.11.12 , http://m.bokuennews.com/m/m_article.html?no=167765, (6월 28일)
나원식, 「 [식품,왕좌의 게임]3 ‘신’이냐 ‘진’이냐 …라면 진검승부」, 『 Business watch』, 2019.12.27, http://news.bizwatch.co.kr/article/consumer/2019/12/27/0010, (6월 28일)
18
고병수, 「오뚜기 ‘다품종 소량생산의 힘’ 」, 『내일 신문』, 2020-05-20 ,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350021, (6월 28일)
이수진, 「코로나 특수 못 누린 ‘오뚜기’ 지배구조 개편설 힘 받는다」, 『 일요신문』, 2020.04.30, http://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368412 , (6월 28일)
서효문, 「 [오뚜기 2020 경영전략1] 함영준 회장, 오뚜기라면 지분 팔며 지배구조 개편 속도」, 『 FNTIMES』, 2020-06-08, https://cnews.fntimes.com/html/view.php?ud=202006052216489069dd55077bc2_18, (6월 28일)
서효문, 「 [오뚜기 2020 경영전략2] 함영준 회장, 소비 니즈 맞춤 트렌드 주도」 , 『FNTIMES』, 2020.06.15,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537686&memberNo=36833282&vType=VERTICAL, (6월 28일)
이한승, 「 '다시마 구입한 오뚜기'…식품업계·농어촌 협업 사례는」, 『연합뉴스』, 2020.06.09, https://www.yna.co.kr/view/AKR20200608147400030?input=1195m , (6월 28일)
김승훈, 「 이해관계자 어떻게 관리 할 것인가」,
『LG 경제연구원』,2003.10.15, , ,http://www.lgeri.com/report/view.do?idx=2566, (6월 28일)
차혜영,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과 SNS 마케팅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대기업과 창업기업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20
오뚜기 공식홈페이지
김기홍, 유철재(기업인), 김영재 저. 경영학개론. 한올. 2017.
서지은 저. 브랜드를 살리는 온라인 마케팅 6가지 노하우. 북랩.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