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SPA브랜드의 환경오염 문제와 해결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SPA 의류 브랜드 개요
1.2. SPA 의류 브랜드의 급성장과 문제점
2. SPA 의류 브랜드의 문제점
2.1.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심각한 환경오염
2.2. 소비자들의 패스트패션 추구 열풍
3. SPA 의류 브랜드 문제점의 해결 방안
3.1. 기업의 친환경적 생산 활동 개척 및 제품 개발
3.2. 소비자의 의식 있는 소비지향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SPA 의류 브랜드 개요
SPA 의류 브랜드는 "의류기획·디자인, 생산·제조, 유통·판매까지 전 과정을 제조회사가 맡는 의류 전문점"을 말한다. 이들은 "백화점 등의 고비용 유통을 피해 대형 직영매장을 운영하고, 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공급하며, 동시에 소비자의 요구를 정확하고 빠르게 캐치하여 상품에 반영시키는 새로운 유통업체"이다. 또한 "고객수요와 시장상황에 따라 1~2주 만에 '다품종 대량공급'도 가능한 것이 특징"이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SPA를 'fast fashion'이라고도 부른다.
SPA 브랜드는 2000년대부터 한국에 도입되기 시작하여, 2005년 이후 본격적으로 유통 및 시스템 경쟁력을 갖추고, 2011년 이후 브랜드의 지속적 성장과 안정적인 시장 세분화를 이루어냈다. 유니클로, 자라, H&M, Forever21 등의 글로벌 SPA 브랜드들이 국내시장에 진출하면서 국내 패션시장의 흐름을 바꾸어놓았고, SPA 브랜드의 성공으로 국내 중저가 볼륨브랜드들의 SPA 브랜드화 및 대기업의 SPA 브랜드 런칭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처럼 글로벌 SPA 브랜드들이 국내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글로벌 브랜드라는 네임밸류보다는 소비자에게 고품질, 저가격의 제품을 제공하고자 했던 전략"이었다.
1.2. SPA 의류 브랜드의 급성장과 문제점
SPA 의류 브랜드의 급성장과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SPA 의류 브랜드는 등장과 함께 빠르게 흥행하여 확산되어 나갔다. SPA 의류 브랜드가 빠른 시일 내에 큰 인기를 끌 수 있었던 이유는 소비자의 욕구와 만족도를 동시에 충족시키기 때문이다. SPA 의류 브랜드는 이에 최적화된 생산과 유통이 자사에서 이루어진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소비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SPA 의류 브랜드의 그 이면에는 심각한 문제들이 야기되고 있다.
SPA 의류 브랜드의 가장 큰 장점인 저렴한 가격은 노동착취에서 비롯된 것이다. 기업은 단가를 낮추기 위해 값 싼 노동력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하청업체를 이용하는데, 실상 이곳은 터무니없는 최저임금을 대가로 노동자들을 가혹하게 착취하는 열악한 환경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그동안 저렴한 가격이라는 이목 뒤에 숨겨진 노동자들의 희생을 통해 이익을 취하고 있었던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SPA 의류 브랜드는 높은 수익을 내기 위해 대량생산을 일삼고 있으며 생산 과정에서는 유해한 화학 물질과 면화 재배에 의한 농약과 살충제, 물이 엄청나게...
참고 자료
강정석, 「SPA 브랜드 확장에 대한 소비자 지각 과정」,전북대학교 심리학과 연구논문, 2015
김선영, 「SPA 브랜드의 협업 사례와 특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김용주, 「SPA 브랜드 친환경프로그램에 대한 대학생 소비자의 평가」,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윤초롱, 「SPA 브랜드의 친환경 활동 커뮤니케이션이 친환경 제품에 대한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박혜정, 「소비가치가 패스트 패션 브랜드 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융합학부, 2015
박상아, 박재옥,이지연, 환경의식 사회책임적 의류소비태도와 패스트패션 결과지각의 관계,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논문, 2014
우민화, 지수정, 윤혜상, 조우현, 손소영, ,「SPA브랜드의 친환경적 운영을 위한 qfd와 컨조인트 분석」, 한국품질경영학회, 2014
윤태영, 노지연, 고애란, 「현대 소비사회의 이해를 통한 패스트 패션 현상 연구」, 소비자학연구, 2014
이현지, 「환경의식에 따른 패스트패션 구매자의 의복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연구논문, 2016
Shannon Whitehead,「패스트패션 업계가 당신에게 감추는 사실 5」, huffingtonpost, 2014.8.29, https://www.huffingtonpost.kr/2017/07/05/story_n_5727474.html
엘리자베스 L. 클라인 지음 윤미나 옮김(2013),「나는 왜 패스트 패션에 열광했는가」, 세종서적
콘텐츠비즈니스연구회(2010),「유니클로 신화와 SPA 브랜드 스토리」, 미래를소유한사람들
유홍식, 「패션산업에서의 윤리적 패션,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2
SPA 브랜드 관련조사 학회자료 리서치보고서 2012.3
moazine 패션 채널: 내셔널 SPA의 현주소는?
SPA형 패션 소매점의 VMD와 점포이미지 분석 : 서울∙경기지역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VMD and Store Image of SPA-typed Fashion Retail Store - Focused on 20s' Female residing Seoul and GyeongGi-Do Area 김현주 한국디자인포럼
H&M과 UNIQLO 브랜드의 콜레보레이션 사례에 관한 연구 = A Case Study on the Collaboration of H&M and UNIQLO Brand 정인화 (Jung In Hwa) 이혜주 (Lee Hye J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국내외 SPA브랜드의 마케팅전략 특징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arketing Strategy on the SPA Brand 김희선(Hee-Sun Kim)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공용(2015). 패션리테일링과머천다이징, 최근패션 소매업 주요이슈에 대한 조사 및 분석
김수현 (2007). 현대 패션에 나타난 지속가능한 디자인 연구: 영국사례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123.7)
남후남 (2010). 서스테이너블 패션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0(2), pp.53-68.8)
문병훈, 2020, 패션서울, 한발 짝 다가온 ‘지속가능 패션’에 대한 이야기
신혜영 (2011). 패션 산업의 메가트렌드로 나타난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178.6)
이연희, 이현아, 박재옥 (2007). 현대 패션에 표현된 지속가능한 느린 디자인, 한국의류학회지, 31(1), pp.21-32.
전윤서 (2020), 라이프인, 지속 가능한 패션, 인간의 욕망을 '착한 소비'로 바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