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교과서 내용의 창의적 개작 및 변형
1.1. 수학 문제의 규칙성과 문제해결
1.1.1. 바둑돌 배열 문제의 수식화
교과서 내용을 창의적으로 개작 및 변형하는 방법 중 하나로 바둑돌 배열 문제의 수식화를 고려해 볼 수 있다"
1학년 2학기 수학 교과서에서는 ●○○, ○●○, ○○● 형태의 바둑돌 배열 문제가 나오는데, 이를 수식으로 변형하면 아동들의 창의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색깔의 바둑돌이 연달아 나오면 1+1해서 2로 두고 풀도록 하면, ●○○은 1+2로 나타낼 수 있고 ○●○은 1+1+1이 되고 ○○●는 2+1이 된다" 결국 답은 모두 3으로, 바둑돌 3개를 의미하는 숫자를 연상시킬 수 있다"
즉, 기존 문제에서 바둑돌 배열을 수식으로 변형하여 제시한다면, 아동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규칙성을 발견하고 창의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1.2. 기본도형 배열을 통한 길찾기 문제
기본도형 배열을 통한 길찾기 문제는 교과서 내 기본도형을 활용하여 아기 곰이 엄마 곰에게 갈 수 있는 길을 만드는 문제이다"
제공된 문서에 따르면, 초등학교 3학년 2학기 수학 교과서 p.108의 문제를 변형하여 활용할 수 있다"
교과서 원문제에서는 기본도형을 배열하여 무늬를 꾸미는 것이었으나, 이를 변형하여 아기 곰이 엄마 곰에게 가는 길을 만드는 문제로 바꾸면 아동의 창의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 하였다"
즉, 아동들에게 기본도형을 제공하고 이를 배열하여 아기 곰이 엄마 곰에게 안전하게 갈 수 있는 길을 만들어보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아동들은 기본도형의 특성과 배열 방식을 고민하며 창의적인 사고력을 기를 수 있다"
이러한 문제 변형은 수학 교과 내용을 생활 속 맥락과 연결시키고 실제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1.1.3. 주어진 식을 바탕으로 문제 만들기
주어진 식을 바탕으로 문제를 만드는 것은 학생들의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키울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교과서에 나와 있는 문제들이 모두 주어진 문제를 풀이하는 것이라면, 주어진 식을 보고 학생들이 직접 문제를 만들어 보는 것은 아동들의 창의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교과서 6학년 2학기 p.135의 문제를 변형해 볼 수 있다. 교과서에는 주어진 문제를 읽고 식을 만들어 푸는 내용이 있지만, 이를 반대로 주어진 식을 보고 문제를 만들어 보는 활동으로 변형할 수 있다.
+어떤 수 ? ? X {3} over {8} ? -450 1650 1200 와 같은 식이 주어지면, 학생들에게 이 식에 맞는 문제를 만들어 보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수학적 개념을 보다 심도 깊게 이해하고, 문제 상황을 창의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문제 만들기 활동은 단순히 문제를 풀이하는 것보다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를 높일 수 있다. 학생들에게 주어진 식을 바탕으로 직접 문제를 만들어 보도록 하면, 단순히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것보다 자신만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학생 주도적으로 문제를 만들어 보는 활동은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흥미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주어진 식을 바탕으로 문제를 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