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론적심리학을 통해서 본 이타주의 행동 분석하기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진화론적심리학을 통해서 본 이타주의 행동 분석하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진화심리학과 사회생물학
1.1. 진화심리학의 정의와 핵심개념
1.2.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남녀 성행동
1.3. 일인가구 증가에 따른 진화심리학의 발전 전망
1.4. 사회생물학의 옹호와 반대

2. 생물학적 인간관
2.1. 생명의 탄생
2.2. 진화론
2.3. 사회생물학
2.4. 생물학적 인간관의 한계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진화심리학과 사회생물학
1.1. 진화심리학의 정의와 핵심개념

진화심리학은 인간의 마음에 대한 계산주의 이론, 즉 현대 계산 이론의 아버지라 불리는 논리학자 튜링이 주창했고 인간의 마음에 대해 컴퓨터나 두뇌의 소프트웨어로 이해하는 이 계산주의 이론과 주류 현대 진화론이 결합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주류 현대 진화론은 다윈의 자연 선택론을 중점적으로 해 1920년부터 30년에 형성된 근대적 종합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자연 선택의 단위를 유전자로 규정하는 유전자 선택론, 그리고 자연 선택의 힘을 강조하는 적응주의를 근간으로 한다. 진화심리학은 사회 생물학을 계승한 이론이라고 말할 수 있으면서도 둘은 서로 달라 연구 목표와 방법론까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진화심리학의 일차적인 목적은 특정행동을 일으키는 심리기제에 초점을 두고 있는 데에 반해 사회생물학은 행동자체에 우선 목적과 관심을 둔다. 진화심리학자들은 인류가 오랜 진화를 겪으며 여러 유형의 적응 문제를 직면하고 이를 해결하도록 설계된 마음을 지닌 개체만 진화에 성공했을 거라 믿고 있다. 그들은 우리 마음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되지 않고 오히려 특정하게 정해진 몇 개의 적응 문제들, 예를 들어 짝을 고르거나 음식을 가리거나 동맹을 만들거나 상대방 마음을 읽는 등의 문제에 국한해 자연선택에 의해 설계되었다고 생각했다. 이것은 마치 우리가 신체의 여러 적응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처럼 마음 또한 하나의 보편적 적응 기관으로 보는 것이다. 그래서 마음을 정신기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2.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남녀 성행동

진화심리학에 의하면 선사시대부터 남녀간의 명확한 역할 분담이 존재했다고 한다. 상대적으로 육체적 능력이 높은 남자가 생산과 수렵을 담당하였고, 여자는 출산과 양육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성 차이는 곧바로 사랑에서의 행동에 있어 서로 다른 전략을 수립하게 한다.

여성은 출산 능력으로 인해 한 해에 한 번만 배란을 하지만, 남성의 정자는 거의 매일 엄청난 양이 생산되어 육체적 능력을 지니게 된다. 이에 따라 여성은 경제력과 정서적 사랑을 갖춘 남성을 선호하게 되는데, 이는 자신의 유전자를 안정적으로 다음 세대에 남기기 위한 전략이기 때문이다. 반면 남성은 이론적으로 볼 때 자신의 유전자를 임신 가능한 여성과의 성관계만큼이나 많은 관계로 퍼뜨릴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많은 성관계를 갖는 것이 진화적으로 유리하다고 해석된다.

또한 진화심리학에 따르면 남성은 외모가 건강한 젊은 여성을 선호하는데, 이는 건강의 신호로 여겨져 임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남성의 성 선호는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나타나는데, 성형미인을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나 불륜 행위 등에서 그 근저에 깔려있는 진화적 의도를 알 수 있다.


1.3. 일인가구 증가에 따른 진화심리학의 발전 전망

오늘날 일인가구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로 볼 때 진화심리학이 어떻게 발전하게 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예측해 볼 수 있다.

진화심리학의 위와 같은 많은 연구결과들은 때로 기존 전통 이론들에 보완적이기도 하면서 양립할 수 없는 경우도 더러 있다. 예를 들어 남녀의 짝짓기 행동에 있어 기존의 설명을 보완해주고 있지만 부모 자식간의 충돌에 대해서는 프로이트의 이론과 정면으로 충돌되기도...


참고 자료

JTBC 2007.11.13. ‘'不倫 열광'의 진화심리학’
데이비드 버스, 2012 「진화심리학」 웅진지식하우스
강신익(2012), “사회생물학 달리 보기: 새로운 사회생물학 또는 생명사회학을 찾아서” 『대동철학』 제59집, 23-60.
백도형(1999), “사회생물학에 관한 형이상학적 분석” 한국철학회 편, 『철학』 제58집, 361-380.
배식한(2007), “가능한 통섭과 불가능한 통섭: 통섭과 무법칙적 일원론”, 최재천, 주일우 엮음, 『지식의 통섭』, 서울: 이음.
박승억(2008), “통섭: 포기할 수 없는 환원주의자의 꿈”, 한국현상학회 편, 『철학과 현상학 연구』, 제38집, 197-218.
안상헌(2011), “‘통섭’ 이념의 정치 이데올로기 비판”,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편, 『인문학지』, 제42집, 1-22.
이남인(2009), “인문학과 자연과학은 어떻게 만날 수 있는가?: 통섭 개념에 대한 비판을 토대로 삼아”, 철학연구회 편, 『철학연구』, 제87집, 259-311.
이을상(2008), “다윈주의 윤리학: 유전자의 기능과 이성의 역할”, 최재천 외 지음, 『사회생물학,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 부산: 산지니, 161-194.
이을상(2009), “통섭의 뇌: 생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새한철학회 편,『철학논총』, 제56집, 65-84.
이을상(2011), “다윈과 마르크스: 다윈의 진화설에 대한 마르크스의 평가와 새로운 사회생물학의 정립” 부산민주주의사회연구소 편, 『성찰과 전망』 제8호.
이을상(2012), “유전자 인간학: 인간 본성의 통섭적 이해”, 한국윤리학회 편, 『윤리연구』제85호, 103-132.
이정덕(2011), “지식대통합이라는 허망한 주장에 대하여: 문화를 중심으로”, 김동광, 김세균, 최재천 엮음, 『사회생물학 대논쟁』, 서울: 이음, 107-145.
이정덕(2012), “문화로 본 사회생물학의 허상” 『진화론은 목적론이 아니다: 사회생물학 비판』(대동철학회 2012년 춘계학술대회보), 25-57.
정상모(2009), “유전자와 문화: 후성규칙의 덫”, 『철학논총』, 제56집, 107-126.
정세근(2012), “왜 사회생물학이 문제인가?” 『대동철학』 제59집, 1-22.
Camus A.(1998), Le Mythe de Susyphe(김화영 옮김, 『시지프 신화』, 서울: 책세상).
Darwin C.(2009), On the Origin of Specie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송철용 옮김, 『종의 기원』, 서울: 동서문화사).
Dawkins R.(2005), The Blind Watchmaker(이용철 옮김, 『눈먼 시계공』, 서울: 사이언스 북스).
대통합』, 서울: 사이언스 북스).
김기석, 『종의 기원vs신의 기원』(동연 : 2009).
래리 위덤, 박희주 옮김, 『생명과 우주에 대한 과학과 종교논쟁, 최근 50년』(혜문서관 : 2008).
도정일·최재천, 『대담』(휴머니스트 : 2005).
김성한, 「사회생물학적 의미의 이타성과 보편 윤리」, 『철학연구』(고려대철학연구소 : 2000).
박준건, 「사회생물학적 인간관에 대한 비판」,『통서철학연구』(한국동서철학회논문집 : 제 38호, 2005).
유천열, 「성경적 창조론관 자연적 진화론 비교 연구」(석사학위논문,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 1996).
이병훈, 「윌슨의 사회생물학」(한국논단 : 199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