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밀키트사업장참고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밀키트의 산업혁명
1.1. 밀키트의 개념
1.2. 밀키트의 역사
1.2.1. 스웨덴의 밀키트 시작
1.2.2. 미국의 밀키트 확산
1.2.3. 한국의 밀키트 시장 발전
1.3. 국내 밀키트 시장 발전과제
1.3.1. 일회용품 사용 문제
1.4. 건강 가정간편식(Healthy-HMR) 창업 분석
1.4.1. HMR 시장 현황
1.4.2. 건강 가정간편식의 부재
1.4.3. 정부의 메디푸드 지원 정책
1.4.4. 건강 가정간편식의 SWOT 분석
1.5. 일반산업(외식업, 도소매업, 서비스업 등)의 미래 방향
1.5.1. 외식산업의 미래 방향
1.5.1.1. 외식행태 변화
1.5.1.2. 소비감성 및 마케팅 변화
1.5.1.3. 경영 변화
1.5.1.4. 푸드테크 발전
1.5.2. 기업 사례
1.5.2.1. 대한제분의 곰표맥주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밀키트의 산업혁명
1.1. 밀키트의 개념
밀키트(Meal Kit)는 조리되지 않은 손질된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 등 조리에 필요한 정량의 식재료와 양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장지에 해당 식재료로 만들 수 있는 조리법이 제공되어 있어 소비자가 가정에서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제조한 제품을 의미한다.
자료를 바로 끓여서 먹을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식육, 채소, 생선 등이 손질 및 세척 후 절단 등 단순 처리된 식재료만 제공하는 것도 밀키트로 분류된다.
가정간편식과는 달리, 밀키트는 하나의 세트 안에 정량의 식재료와 소스와 양념, 재료법이 들어 있어 따로 장을 보거나 식재료를 준비할 필요 없이 끓이거나 굽는 간단한 조리법으로 음식을 마련할 수 있다.
1.2. 밀키트의 역사
1.2.1. 스웨덴의 밀키트 시작
스웨덴에서 밀키트가 가장 먼저 시작되었다. 스웨덴의 외식문화가 발달하였으나, 높은 가격으로 인해 부담이 되었다. 또한 스웨덴 사람들은 건강한 식사를 중시하여 가정에서 직접 음식을 해먹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었다. 그러나 맞벌이 가정이 증가하면서 음식을 조리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게 되었다. 이에 2008년 Linas Matkasse라는 업체가 장보기와 조리의 불편함을 간소화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정기배송을 신청하면 박스 안에 손질된 식재료와 조리단계 사진, 레시피를 제공하였다. 높은 외식물가를 생각했을 때 밀키트 온라인 배송서비스는 매우 합리적인 가격이었고, 스웨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1.2.2. 미국의 밀키트 확산
미국에서 밀키트가 본격적으로 확산된 것은 2012년부터이다. 미국에서는 단순히 손질된 식재료만을 배송하는 것을 넘어서, 전문 셰프가 직접 식재료를 손질하고 레시피를 제공하는 밀키트 회사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했다. 딜리버리 중심의 밀키트가 미국인들의 식생활 전체를 바꾸어 놓았다고 할 수 있다.
초기에는 Blue Apron, HelloFresh, Plated와 같은 밀키트 전문 스타트업 회사들이 등장하면서 시장을 선도했다. 이들 회사들은 주 2-4회 배송되는 밀키트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문 셰프가 개발한 레시피와 손질된 식재료를 소비자들에게 배달해 주었다. 소비자들은 간단한 조리 과정만 거치면 고급스러운 요리를 집에서 손쉽게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점차 대형 유통업체와 식품 기업들도 밀키트 시장에 뛰어들었다. 아마존, 월마트, 허브 등 대형 유통업체들은 자체 밀키트 브랜드를 선보였고, 캘프푸드, 콘아그라 등 식품 기업들 역시 밀키트 사업에 진출하였다. 이들 기업들은 기존 밀키트 스타트업들과 달리 유통 채널과 제조 역량을 보유하고 있어, 규모의 경제를 활용할 수 있었다.
이처럼 미국에서의 밀키트 확산은 초기 스타트업 기업들의 선도와 이후 대형 유통·식품 기업들의 진출이 맞물리면서 급속도로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 전문 셰프가 개발한 고급스러운 메뉴를 집에서 편리하게 즐길 수 있게 된 것이 주된 요인이었다.
1.2.3. 한국의 밀키트 시장 발전
우리나라에서도 맞벌이 가정이 늘어났으며, 미국이나 유럽처럼 여성이 일과 가사노동을 양립하며 음식의 조리까지 담당하다는 것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그런 가운데 2016년 밀키트 전문 스타트업 회사들이 생겨났고 2017년에는 대형 유통회사들이 자체 밀키트 브랜드를 기획해 판매하였다. 현재는 유명한 식당에서 판매되는 인기 메뉴를 밀키트화 하여 판매하면서 밀키트 시장의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밀키트 시장은 코로나19 시기 급성장하게 된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외식업계 상권이 흔들리던 가운데, 배달음식과 밀키트시장은 큰 폭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그 전까지만 하더라도 밀키트는 대형마트에 가서 장을 볼 때 한번씩 구매해보는 호기심 상품이었다면, 코로나19 이후 밀키트는 정기배송이 급격히 늘어나며 1인가구와 맞벌이 가정의 식탁을 책임지게 된다. 밀키트의 종류도 다양해져서...
참고 자료
김유경, 「미국의 식탁을 차지한 밀키트」, 해피라이프, 2020.03.26.
백소민, 「[포커스] 성장하는 밀키트 시장... 환경 생각한 포장재는?」, 특허뉴스, 2022.10.31
이은영, 「충남지역 20-30대 성인의 밀키트(Meal Kit)를 중심으로 한 가정간편식 구매행태 및 영양지수와의 관련성」,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이춘호, 「[이춘호 기자의 푸드 블로그] '집밥해결사' 밀키트, 이젠 건강식으로 즐겨요」, 영남일보, 2021.06.25
차승현, 「밀키트에 대한 위험 인식이 위험 태도와 수용에 미치는 영향 - HACCP 인증을 중심으로 -」,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3
허세민, 「[행복한 식탁이 옵니다] 밀키트, 2008년 외식 물가 높은 스웨덴서 첫 등장」, 서울경제, 2019.04.23.
이해영, 정라나, 양일선, 2005,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한국에서의 Home Meal Replacement (HMR) 개념 정립 및 국내 HMR 산업 전망 예측, 한국영양학회, 38(3), 251-258
융합금융처, 융합금융처 산업분석 리포트 2019-4호-음식료:간편식(HMR), 융합금융처, 2019.04
혁신성장전략회의, 5대 유망식품 육성을 통한 식품산업 활력 제고 대책, 기획재정부, 2019.12
김보리, “올 HMR시장 키워드는 '가시비(價時比)'”, 서울경제, 2020.03.22, https://www.sedaily.com/NewsVIew/1Z0AQWFLEU
민혜정, “[유통시장 동향]①특수의료용도 식품시장, 新 블루오션 부상 '조짐'”, 산업경제, 2019.01.07, https://www.biznews.or.kr/news/article.html?no=8382
윤은옥, “[창간 특집]무섭게 확대되는 HMR 시장… 외식산업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다”, 식품외식경제, 2019.07.02, http://www.foodbank.co.kr/news/articleView.html?idxno=57430
이지혜, “2019 HMR 트렌드 대전망”, 더바이어, 2019.02.01, http://www.withbuyer.com/news/articleView.html?idxno=15885
이진경, “컵밥 등 일부 가정간편식, 나트륨 높고 영양성분은 부족”, 한국경제, 2020.02.18,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2002183525o
김기영 외 3명, 외식산업관리론 (외식산업 분야에 관심 있는 모든 분들을 위한), 백산출판사, 2021.08.30.
다나카 히로타카, 푸드테크 혁명 (전 세계가 주목하는 초거대 신산업), KMAC, 2021.11.12.
윤호영, 코로나 19로 되돌아보는 노동 세계의 변화 (배달 앱 플랫폼과 노동 그리고 미래), 세창출판사, 2022.05.13.
김맹진, 외식산업의 콜라보레이션 효과 – 곰표맥주 사례, 식품외식경제, 2021.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