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ased on the Japanese measure(曲尺); the law of 1905 standardized the unit system and volume of tools ... 法’이란 일본 도량형의 개념을 수용하였고, 이는 우리 도량형사에 큰 변화였다. The reform of the weights and measures system in the ... late Korean Empire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cause the weights and measure system in the 19th
었고, 明代는 營造尺․量地尺․栽衣尺 등이 사용되었고, 室町期는 曲尺과 함께 吳服尺 등이 존재하였다. 이처럼 척의 종류와 길이는 국가마다 달랐다.둘째, 양기는 合(홉)․升(되)․斗 ... weights and measures in early modern Korean, China and Japan by the comparative method.
Firstly, Korean ... , China and Japan in early modern used the same units of the measurements such as ‘Pun, Chon, Cheok
)도량형(度量衡)(weights and measures)중에서 http://lsn96.com.ne.kr/math/doryang.htm-준수척고 갑술척고려의 삼등전은 하등전척을 기준 ... (木尺), 곡척(曲尺), 대척(大尺), 금척(今尺)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무기와 형구(形具)의 제조, 성곽, 교량, 도로 등의 축조 등 주로 목수들이 사용하는 자이다. 또한 부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