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이러한 작업은 한 어휘의 통사적 특질이나 의미적 특질은 문법의 한 하위 부문인 어휘부에서 다루어지며 각 어휘항목에 대한 어휘 기재항(lexical entry)은 그 어휘항목 ... 을 가지고 있는 반면, vocabulary는 어휘력이라는 인간의 언어 능력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집합으로서 개념을 가진다고 하였다. 임지룡?윤희수(1989)는 어휘항목의 특성을 ‘형태 ... 국어어휘의 개념, 국어어휘지도(국어어휘교육)의 중요성, 국어어휘와 역학적 현상, 국어어휘의 계량단위, 있다의 국어어휘와 통사구조 분석Ⅰ. 서론Ⅱ. 국어어휘의 개념Ⅲ. 국어어휘지도
를 명시해 주는 부분을 어휘목록(lexical entry)라고 한다. 예를 들어, 어휘항복 angelize의 어휘목록에는 음운자질(phonological feature)로 표시된 발음 ... (Lexicon)을 가지고 있다. 이 사전에는 그 언어에 사용되는 단어 및 형태소, 즉 어휘항복(Lexical item)에 대한 음운적, 통사적, 의미적 정보가 명시되어 있는데, 이 정보 ... angelic"을 의미한다는 의미적 정보가 명시되어 있다. 또한 여휘목록에는 angelize의 범주가 동사라는 등의 통사적 정보도 명시되어 있다.어휘항목에 대한 통사적 정보 중 각 어휘항목
이 없으므로, 우리는 이 사실을 각 동사 특유의 자질로서 각 동사의 어휘내항(lexical entry)의 일부로 표시하는 수밖에 없다. 다음과 같이 어휘목록을 명시해줌으로써 동사 ... 에, Chomsky는 ‘어떤 틀(frame)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하위범주화 되지 않은 항목은 모두 그것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하위범주화 된다’ 라는 어휘적 잉여규칙(lexical ... entence formation rules), 어휘삽입규칙(lexical insertion rule), 그리고 어휘목록(lexicon)을 포함한다. 어휘목록은 그 언어의 모든 단어들의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