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of both sides through establishing Chaekguru(幘溝漊). But, with the aggressive ... 였던 사실은 당시 현도군이 파악하고 있던 인구 집단에 고구려 사회의 주민이 포함되어 있었음을 암시한다. 즉, 적어도 元始 2년(A.D. 2) 무렵까지는 현도군과 고구려가 朝服ㆍ衣幘 ... early second century, and accordingly, Chaekguru was also abolished.
Thereafter, the Later Han rebuilt
established in this area, and Chaekguru(幘溝漊) was established in the eastern border(東界) of the second Hyeondogun. 백산학회 백산학보 이준성 ... 한 이후 예맥 지역에는 玄菟郡이 설치되었다. 현도군은 이후夷貊의 침략을 받아 서북 방면으로 치소를 옮긴다(제2현도군). 제2현도군의 ‘동계’에는 幘溝漊가설치되었는데, 이는 요동군과 위
Chaekguru(幘溝漊). Goguryeo‘s diplomatic against China was lead by king until late 3rd century. Therefore ... 적 등급은 「國王」印과 「歸義王侯」印에 다음가는 3등급 「率善」印에 해당한다. 幘溝漊의 설치를 통해 고구려의 대외교섭권이 왕권에 귀속되면서 3세기 후반까지 고구려의 대중교섭은 고구려 ... ) record on 『Samgukji(三國志)』 Dongizhuan(東夷傳), the Seal strap(印綬), suit and hat(衣幘) was carried by Don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