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과 y 사이에 유리수 a가 존재한다.그러면 이므로 즉 x와 y 사이에 0이 아닌 유리수 a가 존재한다.그러므로 두 실수 사이에는 0이 아닌 유리수가 존재한다그러므로 등차수열인 피타고라스 수는 항상 (3k, 4k, 5k) 꼴로 표현될 수 밖에 없고원시 피타고라스 수는 ..
2013학년도서강대학교수시논술고사문제답안(자연:화공생명/컴퓨터/기계)오영통합논술학원【1-1】 실수 위에서 정의된 함수 가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3} over {2 ... 한가?"를 묻는 문제임.답안h가 유리수와 무리수일 때 모두 f(0) ^{prime } = lim _{h-> 0} {{f(0+h)-f(0)} over {h}}=0 이므로 x=0 ... (xLEQ 0)는 에서 미분가능한가?"를 묻는 문제임.답안h가 양수일 때, {1} over {h}=x로 치환하면 lim _{h-> 0} {{2 ^{{-1} over {h}}} o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