었다는 점 ⑤현지 미군정 중대와의 협력 관계를 유지했다는 점 ⑥중앙이나 전남위원회 조직과도 일정한 거리를 둬 독자적이었다는 점 등이다.당시 뜨거웠던 제주도 교육 열기는 ‘45년 ... 의 상관관계는 명백하다. 즉 가장 폭동이 심했던 경남과 경북은 1930년과 1940년간의 인구유출이 각각 1,2위를 기록하고 있었다. 폭동이 심하게 일어났던 제주도 역시 1930년대 ... 을 통해서 비로소 제주도의 아픈 역사를 어렴풋이 알게 되었다.제주4?3을 실제로 겪었던 사람들의 입을 통해서가 아니라 제3자의 눈을 통해 학문적으로 논구한 최초의 시도는 아이러니칼
, 중앙이나 전남 인민위와도 거리를 둠으로써 독자성을 유지하였다.2. 남로당의 성립과 우파의 움직임8.15직후 제주 최초의 정당조직은 조선공산당 전남도당 제주도위원회였다. 1946년 ... 하였다. 그리하여 1946년 대한독립촉성청년연맹 제주도지회, 광복청년회 제주도지회가 발족하였는데 이 두 단체는 후에 대동청년단 제주도지단부로 통합되면서 4.3 사건 진압대로 참여하게 된다 ... 던 여운형 주도로 독립 국가의 탄생, 치안확보, 현존 시설 보존 등을 기치로 내걸고 결성하였다. 제주도에서도 1945년 9월 10일 오대진을 위원장으로 하여 건국준비위원회가 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