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 경흥의 13가구가 두만강을 건너 연추부근의 지신허에 정착하게 되는 1863년 무렵이다. 초기 연해주로의 이주는 주로 함경도와 평안도의 영세농민이 주도했는데 간도와 마찬가지로 연이 ... 부터 연해주 의병의 통합을 절감한 지도자들의 의병단체 단일화 작업이었다. 유인석·이범윤·이상설 등은 먼저 1910년 6월 유인석을 도총재로 하여 암밤비에서 십삼도의군을 조직 ... 였다. 그러나 국제 정세는 일본에게 유리하게 돌아가게 되면서 국내 잠입했던 성낙형을 비롯한 신한혁명당 간부들이 거의 체포되었다.(1915년 보안법위반사건) 고려족회(전로한족회중앙총회
무력항쟁을 지도하기 위해 일본의 병서와 군용지도를 가지고 신흥무관학교를 찾았다.독립군 간부양성에 진력하고 1920년 상해임시정부 산하의 만주군정부·서로군정서의 간부가 되었다.◎ 군 ... , 1930년 7월 한국독립당 창당에 참여, 군사위원장이 되었으며, 별도로 한국독립군을 만들어 총사령관이 되었다. 1932년에는 동아혈성동맹의 간부로서 각지의 항일단체를 규합하는 데 ... 광해군의 간청으로 서울에 올라가 호분위의 부호군, 호분위의 대호군 겸 오위도총부의 부총관에 제수되었고, 이어 한성부좌윤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자 바로 함경도관찰사로 바꾸어 발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