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공격법 또한 독특하다고 볼 수 있다.조선 후기의 학자인 성대중(成大中 1732~1812년)이 지은 책인 청성잡기(靑城雜記)에는 일본군이 조선에 두 번째로 쳐들어온 정유재란 때, 이 ... 을 연결해 손목에 묶어 칼을 놓치더라도 다시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삼국시대 당시 환두대도는 통상적으로 횡도라고 불렸으며, 고구려의 환두대도는 맥검 또는 고려양대도라고 불렸다고 한다
청성잡기 서평청성잡기(靑城雜記)는 영정조 시대에 활동하였던 서얼 출신 문인인 성대중의 저서로 1790년에서 1801년까지 10여 년 동안 저술한 것을 그의 아들 성해응이 손 ... 한 잡기류의 편찬이 많아졌는데 청성잡기는 그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췌언과 질언, 그리고 성언 중 필자가 느낀 바가 컸던 내용들 몇 가지를 뽑아 요약하고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