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고 의 관점에서 풀어냄으로써 위진미학에서 중시한 형신(形神)문제에 대한 수용과 그것의 해결을 볼 수 있었다.다섯째, ‘본어형자융령’의 령(靈)을 강조하여 자연 산수 속의 미묘 ... )으로서의 산악(山岳)이 표시되는 정도였다.혹자가 중국의 회화가 장학의 독생자라고 한 것은 중국 산수화의 발생을 고찰해보면, “인간이 자연의 일부요 인간은 자연의 일체가 됨으로써 참다운 자유 ... 와 해방감을 느낀다”는 장자의 정신세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장자사상은 무위자연의 현학사상으로 일체의 인위적 구속을 벗어버리고 자연의 일부로서 산수 속을 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