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서는 아래와 같은 제안을 하였다. 전자주주총회 도입시 현장병행형․출석형 전자주주총회와 현장대체형 전자주주총회 모두 정관에 규정을 둔 경우(opt-in 방식)에만 인정하는 것 ... , 상법 시행령에 현장병행형․출석형 전자주주총회와 현장대체형 전자주주총회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요건으로 주주권 보장과 관련된 합리적인 제도적․기술적 기반을 회사가 마련할 것을 요구 ... 개최방식 변경에 관한 소수주주권에 관한 규정을 신설할 것을 제안하였다.한편 전자주주총회의 운영상 쟁점과 관련해서는 아래와 같이 제안하였다. 현장병행형․출석형 전자주주총회에서 주주
변제(代物辨濟)는 인정되지 않으며, 상계(相計)도 주주 쪽에서 회사에 대항하지 못한다(334조). 주주의 권리로는 총회에 출석하여 질문할 권리와 1주(株)에 대하여 1개의 의결권 ... 기관인 주주총회를 구성하는 구성원. 주주의 의무는 출자의무뿐인데, 그것은 그가 가진 주식의 인수가액(引受價額)을 한도로 한다(상법 331조). 출자는 금전이 원칙이고 현물출자는 발기 ... Report。생활과 경제과제: 경제 신문안에서 경제 용어 찾아 정리주주 : 주식회사 사원인 지위(주주권)로서의 주식의 귀속자.실질적으로는 기업의 소유자로서 회사의 최고의사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