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위로 규정하는 것은 처분 당시 존재하는 다른 자료나 행정청에 제출하지 아니한 자료는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대법원 1993.5.27, 92누19033,2. 불기소 처분에 대한 법원 ... 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취소소송은 행정청의 특정한 결정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원칙적으로 행정결정시점의 법적ㆍ사실적 관계가 결정적이다. 다수설 및 판례와 같이 원칙적으로는 처분시 ... 의 의무이행청구소송을 제기하여야 할 것이다. 행정청 또한 소송중에 상황이 변경된 경우 새로운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원고는 처분변경에 따른 소의 변경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판례자동차 운수 사업법에 의한 자동차운수사업면허는 특정인에게 권리를 설정하여 주는 행위로서 재량행위이다.(대판 1993.5.27.92 누 19033)교과서에 관한 국정 또는 검 ... 수 있게 함으로서 행정소송대상의 결정이라는 면에서 행정행위개념이 가졌던 의의는 상실되었다 함이 독일의 실정이다. 그럼에도 행정행위 개념은 행정법상 행위형식의 체계화에 있어서 중요 ... 과 필요성1)개념의 성립행정의 행위형식의 하나로서 행정행의는 실정법상의 용어가 아니고 학문상의 용어이다. 행정 작용 중에는 공통의 성질을 갖는 일련의 작용이 있고, 그러한 작용을 공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