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 수 있는 최첨단 장비를 구비함과 동시에, 마지막으로 자주국방 달성을 위한 세부계획과 함께 작전통제권 환수일정 등의 구체화를 실행해야 할 것이다.3) 한미지위협정(SOFA)일반 ... 적으로 ‘소파(SOFA)’ 또는 ‘한미지위협정’이라 불리는 이 협정은 1966년 7월 9일에 서명되고 이듬해 1967년 2월 9일에 발효되었다. 이는 1991년과 2001년 두 차례 ... 으로는, 한국이 미국의 지역전략에서 자신의 이익을 찾고 목표를 공유하려 할 때 교섭이 진전되었다. 베트남에 대한 한국군 증파가 그 사례다. 이러한 한미지위협정은 한국 외무부를 중심
하는 자, 또는 제15조 제1항에 규정된 자는 제외한다. 본 협정의 적용에 관한 한, 대한민국 및 합중국의 이중국적 자로서 합중국에 의하여 대한민국에 들어온 자는 합중국 국민 ... 대한민국과 아메리카합중국간의 상호방위조약 제4조에 의한 시설과 구역 및대한민국에서의 합중국 군대의 지위에 관한 협정아메리카합중국은 1950년 6월 25일, 1950년 6월 27일 ... 에 관한 본 협정을 아래와 같이 체결하였다.제1조 정 의본 협정에 있어서,가 합중국 군대의 구성원 이라 함은 대한민국의 영역 안에 있는 아메리카 합중국의 육군, 해군 또는 공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