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를 향한 인천항의 역할 동북아시아의 Sea Air 수송거점 대중국 및 북한교역의 교두보 수도권을 배후로 하는 서해안 최대의 무역항 환항해권 국제금융 , 무역 , 비즈니스 거점I ... . 인천항의 연혁 1 . 인천항의 개항 조선정부는 1882 년 5 월 화도진 에서 미국과 한미수호조약을 체결한 후 유럽 국가들과 잇달아 통상조약을 체결한 후 1883 년 1 월 인천 ... (171,851 ㎡ ) 가 있고 연간 하역능력은 4,601 천 톤에 이른다 . 주요 취급화물은 잡화 , 산물 , 원목 등이며 , 일부시설을 제외하고는 공영부두로 운영하고 있다 . 2
?철재 기타 광석 등이 230만t, 나머지는 연안화물(沿岸貨物)로서 600만t 가량이 취급된다.Ⅱ. 인천항(인천항만)의 개항○ 조선정부는 1882년 5월 花島鎭에서 미국과 한미수 ... ), 고철의 27%(173만 톤)○ 대중국 및 남북교역의 전진기지- 대중국 해상교통량 : 1,100→1,700만 톤(전국 138백만 톤의 12%, 3위)- 대북한 해상교통량 : 16 ... 부두에 집중되어 있다. 주요 취급화물은 산물, 철재, 원목 등이며 한염해운(주), 우련통운(주), (주)동방 등 3개 업체에서 임대하여 운영하고 있다.3. 제3부두제3부두는 안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