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미술은 제도권 미술에 비해 관객-대중-보행자와의 관계가 유동적이며, 일시적이고 보존 가능성을 배제한다. 이에 따라 상업화된 제도권 미술에 대항하고 통제된 도시 공간을 전유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러시아 거리미술은 혼돈의 80년대와 90년대, 자유로운 분..
A l l A b o u t D z I g a V e r t o v 현대미술사 / 황지영Profile 본 명 : 데니스 아르카디예비치 카우프만 (Denis Arkadyevich ... 의 프로파간다로 보았으며 키노 프라우다 라는 다큐멘터리 시리즈를 제작 . 영화를 만드는 사람은 카메라의 눈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아야 한다고 주장 하였고 , 이 주장은 나중에 누벨바그 ... 으로 영화 역사 중 기록영화에 관한 가중 역할을 했다 . 프로파간다 (propaganda) : 어떤 사물의 존재나 효능 또는 주장 등을 남에게 설명하여 동의를 구하는 일 또는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