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종의 명을 받아 한문으로 지어 올리게 된 것이다.② 출간 및 유통상황「표해록」은 최부의 「금남표해록」(錦南漂海綠)을 언해한 국역본이다. 원래 한문본이던 「금남표해록」은 국역본 ... 이외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의의 >이러한 다양한 내용을 담은 표해록은 해양신앙의 실태를 필두로, 중국 명나라의 해안방비 상황과? 지리, 민속, 언어, 문화, 조선-명 관계 등 ... 『 표해록 - 최부 』Ⅰ. 공통작성 사항1. 최 부는 누구인가.표해록의 저자인 최 부(崔溥. 1454∼1504)의 자는 연연(淵淵), 호는 금남(錦南)이다. 본관은 탐진(耽津
기대를 가지고 우이도로 들어가서 그를 만나자마자 표해과정을 캐묻고 따져서「운곡선설」을 지었는데, 이는 불과 한 달 만에 이루어진 작업이었다.)또한 그는 정약전이 기록한『표해록 ... 19세기 초 문순득의 표류와 「표해시말」- 목차 -1. 머리말2. 문순득과「표해시말」3.「표해시말」속에 나타난 표류1) 흑산도~오키나와2) 오키나와~필리핀3) 필리핀~마카오4 ... 는 생업의 현장이자 인적 물적 자원의 유통로였고, 섬은 바다 사람들의 삶의 공간이면서 바다의 유통로를 연결해 주는 징검다리 내지 휴게소였으며, 강은 바다와 내륙을 연결해 주는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