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개4등급 토지 5 / 2만5천-5만, 20개5등급 토지 2.5 / 11,000-2만5천, 30개..PAGE:17트리부스(Tribus) 회트리부스 인민회: 소 정무관 선출트리부스 ... )SPQRSenatus Populus Que Romana..PAGE:15로마 공화정(共和政)민회:쿠리아회켄추리아회트리부스 인민회트리부스 평민회고위 정무관 선출법안에 대한 가부전쟁, 평화에 관한 결정 ... 관 (tribune) 창설트리부스 평민회 결성12표법: BC 449년 최초의 성문법, 법앞의 평등↓ ex) 11표: 귀족과 평민간의 통혼 금지 조항ex) 3표: 채권 채무관계
트리부스 인민회'(comitia tributa populi) 부족 지역구(tribus, 트리부스) 35개로 구성 트리부스 평민회(concilium plebis tributum ... 가 구성되어 로마법의 모체가 된12표법 제정 기원전 445년경 대외적군사위기 군의 주력인 평민의 지지중요성 귀족과 통혼 허용(카눌레이우스 법) 기원전287년 트리부스 평민회의 결의 ... 의 공화정 초기 BC6~BC3*신분 투쟁 왕정의 몰락, 소수 혈통의 귀족에게 권력이 넘어감 왕의 대체 기원전 5세기 중엽쯤에는 집정관(consul) 기원전 451년에 10인 입법위원회
하는 트리부스회(comitia tributa)가 있었다.로마는 점차 에트루리아 등 이탈리아 반도의 다른 나라를 정복하게 되었다. 이탈리아 반도 통일을 앞두고 로마의 지배권에 마지막 도전장 ... 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시민들은 선거 지역구격인 "트리부스(tribus)"에 등록되어 있었다. 부유한 계층의 트리부스는 재산 수준이 낮은 트리부스보다 인원 수가 적었으며, 무산자 계층 ... publica'는 '공공의 일'을 뜻하는 말이었다. 로마법은 전통적으로 민회에서만 표결로 투표할 수 있었다.(트리부스회) 마찬가지로 공직 출마자도 인민이 선출했다. 그러나 로마 원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