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다. 이 논문은 '트랜스내셔널'을 공간적이거나 실천적인 횡단이나 단순한 소재적 접근이 아니라 인식론적 기획으로 보고 이를 통한 로컬의 재구성이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 ... 로컬이라는 범주는 인류학적이나 사회학적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로컬은 세계화와 이에 수반되는 ‘글로벌’에 대한 대안으로 상정되기도 한다. 하지만 ‘마을 공동 ... 체’로 대표되는 로컬에 대한 이런 낭만적인 상상은 ‘글로벌’의 심화와 함께 점점 그 시의성을 상실해 가고 있다. 특히 공간적 범주로서 표상되는 로컬 범주는 ‘글로컬’의 범주로 변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