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는 케인즈가 있고, 정부의 개입을 반대하는 학자로는 하이에크가 있다. 앞으로의 논의에서 친구이자 라이벌인 이 두 경제학자들의 주장에 대해 살펴보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다만 현 ... 시대는 신자유주의가 지배적인 논리로 자리 잡고 있는 시대이지만 금융위기나 빈부격차 심화 등의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다. 따라서 케인즈와 하이에크의 주장을 둘다 살펴보되, 케인즈 ... 의 논리를 지지할 수 있는 현실 사례들을 근거로 들어 현 시점에 다시금 케인즈적인 논리를 시장경제하에 적용해야 함을 주장하려고 한다. 앞으로의 글에서 하이에크와 케인즈가 활동
(Laissez faire)에 취한 주류 경제학자들에게는 그의 저작은 마르크스를 연상시켰다. 실제로 하이에크는 정부개입을 긍정적으로 본 케인즈를 강하게 비난했다. 반면 사회주의 ... 의 사상이 궁극적으로 덕성의 회복에 있는 것처럼, 케인즈의 사상도 단순히 투자의 사회화를 통한 완전고용에 머무르지 않는다. 케인즈는 『설득의 에세이』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경제 ... 투자의 사회화 - 케인즈에 대한 고찰 리포트 공자께서는 모름지기 인간이 살아가야할 방법으로서 중용(中庸)의 도를 가르치셨지만, 현실은 정반대라고 할 수 있다. 중도, 즉 제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