었다. 이탈리아 미시사의 대표 역사가인 카를로 긴즈부르그(Carlo Ginzburg)와 카를로 포니(Carlo Poni)는 거시사적 개념과 사회과학적 역사 접근 방식이 쇠퇴한 근본 원인을 기술 ... 을 악마적, 비합리적, 이교도적, 또는 범죄적인 것으로 어떻게 배제시켰는지"를 보여주고자 하는데, 이것은 긴즈부르크는 메노키오를, 레비는 바티스타 키에자를 다루면서 실행에 옮겼
카를로 긴즈부르그의 『치즈와 구더기』【목차】읽기에 앞서메노키오 이야기긴즈부르그의 치즈(접근방식)맺으며Ⅰ 읽기에 앞서일단 이 책을 보게 된 건 책의 제목이 흥미를 끌었기 때문이다. 『치즈와 구더기』? 무슨 내용일까? 라는 궁금증이 더 앞섰다. 역사서라고 하기엔 내용을 예..
Ⅰ 서 론이 책을 처음 접하면서 느꼈던 것은 카를로긴즈부르크 천재성이었다. 그도 스스로 자신을 ‘열정을 다하는 조숙아’라고 말한 것처럼 나보다 3살 많은 나이에 학계의 관심 ... 성을 여실히 보여준다.또한 책을 읽어나가면서 느꼈던 것은 논문치고는 예상보다 내용이 부담스럽지 않았다는 점이다. 내가 아는 것이 많아서기보다는 긴즈부르크의 서술방식이 사료에 바탕한 철저 ... 한 실증에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 책에서 긴즈부르크가 근거로 삼은 것은 가스파루토와 모두코의 재판기록인데, 이를 바탕으로 저자는 실증과 부족한 연결고리에 자신의 상상을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