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반에 나주목에서 만든 '나주자(羅州字)', 정조 21년(1797)에 을 인출하면서 사용한 '춘추강자(春秋綱字)', 동왕 22년(1798)에 김한동(金翰東)이 조상의 문집을 찍 ... 정운자(東國正韻字)3. 을유자체자(乙酉字體字)4. 훈련도감자(訓練都監字)5. 실록자(實錄字)6. 교서관(校書館) 필서체자(筆書體字)7. 생생자(生生字)8. 학부(學部) 인서체자(印 ... 를 '홍무정운 한글자'라고 부른다.3. 을유자체자(乙酉字體字)세조 때의 호불정책과 불서 간행사업의 촉진은 사찰에 큰 영향을 주어 많은 불교서적을 목활자로 찍어내게 했다. 이 때의 목활자
었다.* 춘추강자 - 철활자로써, 1573년(선조 6) 처음으로 개주갑인자를 철 합금으로 주 조한 이래 춘추강자(春秋綱字:1797)가 쇠로 주조되었다.(3) 천문, 측량, 수학의 발달- 농업 ... 해서 그 영향을 중국에 미치고 있었고, 중국에 갔던 사신들을 통해 조선에도 그 물결이 미치고 있었던 것이다.이익(李瀷)과 같이 서양 천문학을 예찬한 실학자가 있는가하면, 동양인 ... ) 조선전기(15C)의 과학 기술의 발달 배경ㄱ 부국강병과 민생안정을 위해 기술학을 장려하였다ㄴ 격물치지의 경험적 학풍이 유행하였다ㄷ 유학자가 기술학 겸하였다ㄹ 서역 및 중국의 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