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천남지녀가 아닌 천녀지남(天女地男)의 구도를 특징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한국의 신화적 서사에서 쉽게 볼 수 없는 것으로, 한국인의 신화적 사유체계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 ... 있으며, 흑사 또한 땅[地]의 부정적 기운의 서사적 표상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은 백두산 지역의 극악한 자연환경을 반영하는 동시에 그와 정면으로 맞서서 삶을 개척해온 역사를 생생히 ... 함축한다.백두산 설화의 중핵을 이루는 투쟁 서사와 관련해서 그것이 천(天)과 인(人)의 연합에 의한 지(地)와의 대결을 기본 대립구도로 삼는다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한국신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