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강 산 기 행 가 사(‘지헌금강산유산록’과 ‘금강산완경록’ 중심으로)목 차Ⅰ. 머리말Ⅱ. 작품분석1. 조선전기 금강산 기행가사2. 조선후기 금강산 기행가사3. 작품보기Ⅲ ... 연구성과는 관동별곡에만 국한되어 있었다. 그러다가 최강현에 의해서 금강산 기행가사 연구의 이정표가 마련되었다.본고에서는 조선후기의 금강산 기행가사인 ‘지헌금강산유산록’과 ‘금강산 ... 를 지닌 작품군(봉내곡, 어당금강별곡, 관동신곡)과, 귀글체의 율조가 완연히 파괴되어 음영에 불편을 주는 산문화 현상이 나타나는 작품군(동유금강녹, 지헌금강산유산록, 금강산가, 관동